국민은행 카드론 없앤다 불량 고객 40만명 현금서비스 축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국민은행 신용카드 고객 40여만명이 현금서비스 등 각종 한도를 축소당했다.

국민은행은 연체 중인 '불량고객' 15만명에 대해 현금서비스 한도의 50∼1백%를, 연체가 없더라도 소득 수준에 비해 현금서비스 한도가 많거나 세 군데 이상에서 현금서비스를 받은 '잠재 불량고객' 25만명에 대해선 현금서비스 한도의 50% 미만을 축소했다고 28일 밝혔다.

서비스 한도 1백% 축소는 한도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사실상 신용카드 회원 자격을 박탈하고 거래를 끊는 것이다.

국민은행은 또 29일부터 카드론을 없애기로 했다. 카드론은 현금서비스와 달리 카드 회원에게 돈을 빌려주는 일종의 신용 대출로 연체율이 높은 편이다.

국민은행은 신용카드 사업 부문의 자산 건전성을 유지하고 내실 위주의 영업을 펴나가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비상대책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은 ▶공무원▶공익기관▶언론계▶공공법인▶일반기업▶금융기관▶전문직 등 7개 직업군을 제외한 ▶기타 급여소득자▶사업소득자▶재산소득자▶금융소득자▶기타 소득자 등 5개 직업군에 대해서는 소득을 확인한 후 카드를 발급할 방침이다.

박종인 카드사업본부장은 "소득이 불확실하거나 불규칙한 사람, 사업자등록증만 있고 소득 증명은 하지 못한 자영업자 등에 대해서는 잠정적으로 카드 발급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금서비스 한도 줄이는 금융회사들=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의 이번 조치는 신용카드 부실을 올해 안에 해소하겠다는 김정태 행장의 의지를 반영한 처방으로 다른 은행과 신용카드사에 미칠 영향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조흥은행은 지난달 연체자와 다중 채무자 11만명을 선정해 한도를 절반으로 축소한 데 이어 새로 생긴 부실 회원에 대한 한도 축소를 검토 중이다. 또 1년 이상 현금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회원의 서비스 한도를 50만∼1백만원으로 줄였다.

하나은행은 지난 9월부터 현금서비스 다중 채무자에 대해 한도를 50∼1백% 축소하고 있다.

국민은행 자회사인 국민카드는 9월 회원 1백40만명에 대해 현금서비스 한도를 평균 50% 낮춘 데 이어 60일 이상 연체로 신용 불량자로 등록된 40만명의 신용한도를 '0원'으로 줄였다. 이밖에 한미은행·우리카드·신한카드 등도 현금서비스 등의 한도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신용 관리에 신경써야=국민은행의 이번 조치를 계기로 여러 신용카드를 쓰는 사람, 카드 빚이 많은 사람, 연체를 한 적이 있는 사람은 사용하는 신용카드를 1∼2개로 줄이고 카드 빚도 과감히 정리하며 연체를 하지 않도록 신용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5개 이상 카드를 보유한 사람에 대해서는 신용카드사와 은행이 여신전문금융협회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있고 은행연합회에는 모든 신용 정보가 집중돼 금융기관은 내년부터 단 1원의 빚까지 파악할 수 있다.

카드를 많이 갖고 있다가 자칫 관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갚을 능력이 없는 빚은 쓰지 않는 게 상책이다.

국민은행이 특별 관리하는 40여만명에 자신이 들어갔는지는 이 은행이 보낸 이용대금 청구서에 찍힌 각종 한도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면 금방 알 수 있다.

허귀식 기자

ksli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