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盧측 "내달 10일 대선후보 확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선대위와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후단협)로 양분된 민주당의 분당 위기가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6일 후단협 측은 구체적인 신당 창당 시나리오로 친노(親盧)측을 압박했고, 선대위 측은 반노(反盧)성향의 유용태(劉容泰)총장을 경질해 당 재정권과 인사권을 접수하겠다고 밝혔다.

후단협은 주 초에 당무회의 소집 요구서를 당 지도부에 낼 예정이다.

당무회의를 열어 후보 단일화 추진기구를 당 공식기구로 출범시키라는 것이다. 박양수(朴洋洙)의원은 "당무위원 3분의1이 요구하면 당무회의는 열릴 수밖에 없으며 수적으로 비노·반노 측이 우세하기 때문에 후보 단일화 추진기구 구성안이 통과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친노파의 저지로 당무회의가 열리지 못하거나, 열리더라도 단일화 추진기구의 구성이 무산될 경우엔 집단 행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후단협은 후보 단일화를 주도할 신당 창당 주비위 성격의 베이스 캠프를 당 바깥에 꾸릴 방침이다.

여기엔 한나라당을 제외한 모든 정파의 대표자가 참여할 예정이라고 한다. 김영배(金令培)후단협 회장은 "10일께 신당창당주비위를 구성하고 다음달 10일까지 신당 창당과 함께 신당의 대통령 후보를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단협의 멤버들이 신당 창당 기구에 당적을 유지한 채 참여할지, 아니면 탈당한 뒤 참여할지는 아직 유동적이다. 하지만 강경파 의원들은 탈당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강성구(姜成求)의원은 이날 "10월 중순께 20여명의 의원이 1단계로 탈당해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규(朴尙奎)·김명섭(金明燮)·송석찬(宋錫贊)·이윤수(李允洙)의원 등도 이런 입장이다.

후단협은 10일께 원내·외 위원장 1백여명이 참석하는 전체 회의를 연다. 하지만 친노 측은 "당을 떠날 인사들은 10명 안팎에 불과하고, 이들은 정치 미아로 전락할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劉총장의 경질 문제가 논의될 7일 최고위원 회의에선 양 진영의 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신기남(辛基南)최고위원은 이날 盧후보의 청년특보단 발족식에서 "반노니 비노니 하는데 어처구니가 없다. 역사를 거스르는 세력을 분쇄하거나 설득하는 것이 정치 개혁의 과제"라고 말했다.

서승욱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