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획량 감축 합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고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구정상회의(WSSD)'에 참가한 각국 대표들이 회의 이틀째인 27일, 고갈 위기에 놓인 어족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어획량을 줄이기로 합의했다고 영국 BBC 방송이 28일 보도했다. 개막 후 첫 합의로 기록될 이번 결정은 폐막일에 발표될 '종합이행계획'에 포함된다.

합의안은 2015년까지 전세계 주요 어장들을 '최대 어획량 확보가 지속적으로 보장되는 건강한 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어족이 무차별적으로 남획되는 현재의 상황을 방치할 경우 어족 자원이 곧 고갈될 수밖에 없다는 공통된 위기 의식에서 나온 결정이다. 유엔 조사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어족 자원의 75%가 즉각적으로 어획을 동결하거나 줄이지 않으면 보존이 위협받는 처지에 놓여 있다.

이와 함께 참가국들은 멸종 위기에 몰린 해양생물 보호를 위해 2012년까지 전세계 해역에 '해양자원 보호수역'을 지정키로 했다.

그러나 농업 보조금과 청정 에너지 문제에 대해서는 이해 당사국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자국 농민들에게 지급하는 농업 보조금에 대해 미국·일본·유럽연합(EU) 등 선진국들은 철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개발도상국 대표들은 "개도국의 빈곤상태를 악화시킬 작정이냐"며 반발했다.

'2010년까지 풍력과 태양열 등 청정 에너지 소비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15%에 이르도록 하자'는 안에 대해서도 EU는 환경보호와 비용절감을 내세워 찬성하는 입장인 반면 미국과 산유국들은 구체적인 시한과 목표 설정에 반대하고 있어 쉽게 결론이 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신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