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늙을수록 암 잘 걸리는 이유 밝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늙을수록 암에 잘 걸린다. 그러나 의학적으로 보면 이는 앞뒤가 잘 맞지 않는다. 세포가 늙으면 세포에 활기가 없어져 그 숫자를 늘리지 못한다. 즉,세포 분열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암 세포는 왕성하게 늘어난다. 어떻게 늙은 세포에서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조선대 단백질소재연구센터 유호진 교수팀이 이 수수께끼를 풀었다. 연구성과는 네이처 세포생물학지 1월호에 발표된다.

이전까지 알려진 암 발생 과정은 이렇다. 세포는 자외선이나 독성 물질에 손상되면 자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작동한다. 손상됐거나 늙은 세포는 스스로 죽고 거기에 새로운 세포가 자리 잡도록 하려는 인체의 오묘함이다. 그런데 그 자살 프로그램이 잘 작동하지 않아 세포가 무한정 증식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게 바로 암이다.

늙을수록 암에 잘 걸리는 것도 이처럼 세포 자살 프로그램에 고장이 난 것으로 기존 학설은 풀이했다.

그러나 유 교수팀은 기존 학설과 달리 세포 분열 억제가 유전자 복구시스템을 망가뜨려 암이 생기는 것을 입증했다. 보통 세포는 유전자가 손상되면 스스로 복구한다. 살갗에 상처가 나면 자동으로 아무는 것도 이런 세포의 유전자 복구 시스템이 작동한 결과다. 그런데 늙으면 세포의 분열 능력이 줄어들고,그 결과 유전자 복구시스템도 덩달아 망가진다는 것이 유 교수의 설명이다. 이는 결국 정상 세포에 돌연변이가 생겨 암으로 변하게 한다.

이번 연구 성과에 대해 서울대 생명과학부 정진하 교수는 "분열이 정지된 노화세포에서 왜 암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가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노화와 암 발생의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앞으로 유전자 복구 조절물질을 통해 노화에 의해 생기는 암의 발생 억제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