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진 주인 10년동안 기다리는 강아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유괴된 아이들을 구해내는 떠돌이 개를 그려 히트한 할리우드 영화 '벤지'에 비하면 일본 영화 '하치 이야기'(고야마 세이지로 감독)는 심심하다. 관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상업적 전략 대신 주인을 위해 '견생(犬生)'을 다하는 한 강아지의 충정을 옛날 영화풍으로 차분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시대적 배경도 1920~30년대다. 칙칙폭폭 증기 기관차가 달리고, 역 앞에는 허름한 단층 선술집이 늘어서 있다. 영화는 실화를 다뤘다고 한다. 자기를 아껴주던 우에노 박사(나카다이 다츠야)가 강의 도중 사망한 이후, 그가 퇴근했던 시간에 맞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역 앞에 나가는 강아지 하치가 주인공이다.

말 그대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10년간을 세상을 떠난 주인을 기다리며 역전을 지키는 하치에게서 사람에게서보다 더 진한 의리와 절개를 발견한다고 해도 무리는 아니다.

초롱초롱한 눈동자, 쫑긋 세운 귀, 왼쪽으로 말린 꼬리, 그리고 팔(八·일본어로 하치)자 모양으로 뻗은 다리 등 귀엽기 그지없는 강아지의 순정에 마음이 움직인다. 노숙자 비슷하게 거리를 헤매고, 사람들에게서 돌팔매질도 받지만 주인 향한 일편단심을 잃지 않는 하치는 분명 감동적이다.

그러나 영화는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한다. 마치 교육용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다. 하치와 박사의 관계로부터 조직·상사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일본인의 정신구조를 읽는다면 지나친 억측일까. 28일 개봉. 전체 관람가.

박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