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지지도 한나라 1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시·도의회 비례대표를 선출하기 위해 이번 지방선거에서 처음 도입된 정당명부제에 따른 정당 지지도에서도 한나라당이 압도적 우세를 보였다. 13일 자정 현재 한나라당은 호남에서 민주당에, 충남에서 자민련에 뒤졌을 뿐 전지역에서 1위를 기록했다.

광역의회 비례대표 정수는 서울·경기가 10명씩, 다른 시·도가 3~6명씩이며 유효투표의 5% 이상을 얻은 정당을 대상으로 정당명부의 득표율에 따라 배분된다.

정치권은 이같은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투표를 통한 정당 지지도가 최초로 밝혀진 데다 유권자들이 광역의회 비례후보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한 채 투표, 12월 대선을 앞둔 민심의 향배를 짚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허태열(許泰)기획위원장은 "부패정권 심판에 대한 국민의 지지가 드러난 것이며 대선 정국의 중요한 가늠자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이낙연(淵)기조위원장은 "대선에 참고자료가 될 수는 있으나 직접 연관시키는 것은 유보한다"고 했다. 그러나 민주당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영남을 제외한 일부 지역에서도 민주당보다 두배 가량 높아 '탈(脫)DJ' 내지는 제2쇄신이 불가피할 것이란 의견도 있다.

자민련은 대전과 충북에서 한나라당에 수위를 빼앗겼을 뿐 아니라 서울·경기·부산·인천 등에서는 민주노동당에 뒤지는 수모를 겪었다.

이와 달리 정치권에선 "대선에서는 투표율이 더 높을 것이므로 정당명부제 결과를 그대로 대선에 적용해 보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당명부제는 각 정당이 지역 정당에서 벗어나 전국 정당으로 발돋움하는 시발점의 역할도 해냈다. 정당별 득표율 순위가 마지막까지 변동없을 경우 민주당은 부산·경남 등에서 비례대표 광역의원을 배출할 가능성이 크다. 광역의회 비례대표는 지역별로 한 정당이 의석의 3분의2를 넘지 못하도록 해 한나라당의 득표율이 70%를 넘은 이들 지역에서는 민주당이 낮은 득표율로도 의석을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민노당 등 군소 정당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민노당은 광주·전남·전북에서 한나라당을 누르고 민주당에 이어 정당득표 순위 2위를 기록했다. 울산에서는 한나라-민노-민주당 순이다. 미래연합은 대구에서 한나라당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지지를 얻어 비례대표 광역의원을 배출할 것으로 보인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