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국제 자원 확보 없이 우리의 미래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한국전력과 포스코가 호주 유연탄 광구를 잇따라 인수했다. 한전이 4150억원을 투자한 호주 바이롱의 유연탄 광산은 2016년부터 30년간 연평균 750만t의 고품질 발전용 유연탄을 채굴할 예정이다. 국내 수요량의 12%에 해당한다. 포스코가 530억원을 들여 확보한 호주 서튼 포리스트 석탄광도 2016년부터 연간 130만t의 제철용 석탄을 채굴할 계획이다. 포스코의 석탄자급률은 30%에서 36%로 높아진다. 해외 자원 확보의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이명박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의 40%를 자주개발로 충당해 에너지 자립 사회를 열겠다고 다짐한 바 있다. 자원 외교를 통해 국제 자원 확보에 부쩍 힘을 기울여온 것도 사실이다. 석유·천연가스의 자주개발률은 2007년 4.2%에서 지난해엔 9%까지 올라섰다. 한전과 포스코의 호주 유연탄 광구가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면 현재 40%에 못 미치는 유연탄 자주개발률도 50%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수입률 96%인 한국은 해외 자원 확보만이 살길이다. 미리 국제 자원을 확보하지 않고는 우리의 미래는 없다. 제철용 유연탄만 봐도 t당 국제 가격이 89달러(2007년)→289달러(2008년)→120달러(2009년)→203달러(올해)로 아찔한 널뛰기를 거듭하고 있다. 석탄 수출국들은 연간 단위로 책정하던 수출가격을 분기별로 바꾸는 횡포를 부리고 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은 작은 수급 차질에도 예민하게 반응한다. 석탄의 경우 전 세계 생산량 중 90%는 현지에서 소비되고 해외로 수출되는 물량은 10%에 그칠 정도다.

이미 도를 넘기 시작한 중국의 인력 공세와 일본의 자금 공세로 세계 자원시장은 전쟁터나 다름없다. 우리도 생존을 건 경쟁을 피할 수 없다. 필수 원자재의 안정적인 수급을 도모하려면 선제적인 해외 투자 말고는 다른 방도가 없다. 원유 배럴당 152달러로 원자재 쇼크를 치렀던 게 불과 2년 전이다. ‘자원 외교’를 넘어 ‘자원 안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시 신발끈을 졸라매고 해외 자원 확보전에 속도를 올려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