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자 5백여명 계좌추적 3천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차정일 특검팀이 거둔 성과의 비결은 철저한 계좌추적과 통화기록 조회, 끊임없는 소환 조사 등 치밀한 저인망식 수사에 있었다.

'의혹이 있는 자는 모두 불러 묻는다'는 원칙을 끝까지 유지, 피의자 또는 참고인으로 자그마치 5백여명(연인원)을 조사했다.

그중엔 이용호씨의 회사 관계자가 가장 많았으며, 이용호씨가 발행한 수표의 최종 소지자 등 조용히 불려왔다가 돌아간 사람도 적지 않았다.

계좌추적은 검찰 수사관·금감원 직원·세무사 등으로 구성된 8명의 계좌추적팀이 맡았다. 이들이 수사기간 동안 뒤진 금융계좌는 무려 3천여개.

이수동 전 아태재단 상임이사·김봉호 전 민주당 의원·신승환씨 등이 돈을 받은 사실, 그리고 김성환씨의 차명계좌 거래내역 등이 모두 그 과정에서 포착됐다. 특별검사제도의 보완으로 수사여건이 나아진 것도 선전(善戰)의 배경이 됐다.

수사기간이 옷로비와 파업유도 특검 때의 60일에서 1백5일로 늘어나 상대적으로 충실한 수사가 가능했다. 특검보 1명에 12명의 특별수사관을 둘 수 있었던 이전 특검과 달리 車특검팀은 특검보 2명에 16명의 특별수사관이 참여했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