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전교조 새 지도부에 바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전교조 위원장이 바뀌었다. 당선자는 잘못된 관행과 사업방식을 과감히 개선해 국민적 신뢰와 지지 속에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또 정부 정책에 반대하더라도 책임 있는 대안을 내놓겠다고 덧붙였다. 당선자가 교육 문제보다는 정치투쟁에 몰두했던 전임 집행부에 비해 상당히 유화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기대하는 바가 크다. 그동안 전교조는 교육과는 연관 없는 반미를 외치고, 이라크 파병을 반대하거나 걸핏하면 연가투쟁을 하고 민주노총의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학부모는 물론 교원들로부터도 끊임없이 우려와 비판을 들어왔기 때문이다.

전교조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는 자명하다. 수백명의 학생이 수능 부정에 가담하고 수십명이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하는 교육현실에 대한 책임감을 절감하고 개선하려는 진취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당선자의 약속처럼 학생과 학부모와 함께하는 참교육 실천에 앞장서고 교육인적자원부와 머리를 맞대고 실타래처럼 복잡하게 얽힌 교육의 난맥상을 풀어나가야 한다. 최근 발표된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에서 세계 2위를 차지한 고1 학생들이 '학교 수업은 낭비이고 졸업 후 미래 생활 준비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처럼 학생들이 학교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도 내놓아야 한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걱정스럽기도 하다. 당선자가 진보적인 정당.사회단체.노조.지역사회와 긴밀한 연대를 통해 사회개혁 과제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니 현재의 지도부와 노선이 크게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전교조는 교육 문제에만 전념한다 해도 할 일이 너무나 많다. 황폐화한 교육을 살리고 교원 복지 향상에 노력을 집중해도 역량이 부족하다. 정치 문제는 정치권에 맡겨 둬야지 결코 전교조가 낄 사안이 아니다. 특히 내년 시행 예정인 교원평가는 반대하면서 밥그릇 챙기기 인상이 짙은 근무평정 폐지, 교장 선출제 도입, 교사회 법제화, 사립학교법 개정 주장은 철회해야 한다. 교육의 경쟁력 살리기만이 전교조가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