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중국도시 경제 교류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한국과 중국 사이의 민간 교류가 활성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지방자치단체와 중국 도시들간의 경제 협력과 문화 교류도 본격화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자매도시 결연이나 관광객 유치 등에서 한걸음 나아가 실질적인 결실을 보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는 최근 중국 단둥(丹東)경제합작구에 13만평 규모의 '인천 단둥 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하고 용지분양을 완료했다. 1998년 사업 초기에는 분양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단둥 정부의 건축 수수료 면제, 무상임대 공장 제공 등 지원책이 큰 힘이 됐다.

인천시는 또 지난달 29일 다롄(大連) 등 3개 지역 21개 업체와 수출상담회를 성공적으로 열어 약 30억원의 수출을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와 중국 상하이(上海)시는 지난해 12월 수산기술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를 체결했다.

대구시도 중국 칭다오(靑島)시와 합작으로 개설하는 정통 산동요리점을 오는 5월 말 수성구에서 문을 연다. 토지·건물은 대구 크리스탈호텔이, 식품 자재와 종업원 등은 칭다오 후웨이첸 호텔이 맡는다.

이밖에 광주시는 지난해 5월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에 한정식 식당을 개점했다.

도시가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단체장이 직접 나서기도 한다. 최기선(崔箕善)인천시장은 다음달 시립무용단을 이끌고 다롄·칭다오 등 협력도시를 찾는다.

고건(高建)서울시장도 오는 5월 베이징(北京)을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베이징과는 행정 분야 교류를 꾸준히 해오고 있다"며 "서울은 운하가 발달한 중국으로부터 치수(治水) 정책을 배우고 중국은 서울의 행정 시스템에 대한 문의를 많이 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한편 협력의 기반이 되는 지역간 자매결연에서도 단연 중국이 인기가 높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국내 지자체의 외국 자매도시 수는 4백6곳이며 이 중 30%인 1백22곳이 중국 도시다. 미국(75곳)·일본(71곳)보다 많다. 특히 2000년 이후 자매 결연한 36곳 중 14곳(38%)이 중국 지역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 배경이 비슷해 지자체들이 중국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성태원·정기환·구두훈·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