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선주자들 iTV서 첫 합동토론 北·美해법 '7인7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 대선 예비주자 7명이 경선정국 돌입 후 처음으로 정책토론을 위해 한자리에 모여앉았다. 7일 오후 7시부터 네 시간 반 동안 경인방송(iTV)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합동토론회에서다.
박찬숙 앵커의 사회로 일문일답식으로 이뤄진 토론회에서 주자들은 저마다 장점과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었다.
북·미 관계 경색이 가장 먼저 화두에 올랐다. 주자들은 미국의 대북 강경책으로 한반도 안정이 흔들려서는 안되며,북한의 미사일 수출은 막을 수 있다고 한 목소리를 냈으나 구체적 해결방법에서는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김근태 고문은 "햇볕정책은 국민 모두의 정책"이라고 강조했으며, 정동영(鄭東泳)고문은 "남북한과 미국 3자가 포괄적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인제(李仁濟)·김중권(金重權)고문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면 노무현(盧武鉉)고문은 "북한은 미사일로 비즈니스를 하려 하는데 미국은 공짜로 해결하려는 데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방한 때 그의 주요 관심사항이 될 것으로 알려진 4조2천억원이 들어가는 차세대 전투기(FX) 도입 문제에 대해서도 주자들의 의견 차는 뚜렷했다.
정동영·노무현 고문은 "투명성을 높이고 잡음을 없애기 위해", 김근태 고문은 "시기를 놓친 데다 정치적 부담이 너무 크고 한반도에 긴장을 부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종 결정을 다음 정권에 넘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인제 고문과 유종근(柳鍾根)전북도지사는 "지난해 중반기에 결정하기로 돼있었다가 다시 11월로 미뤄졌는데 또 다시 지연시키면 군사력 강화에 차질이 생긴다"며 "현 정부가 국익 관점에서 투명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화갑(韓和甲)고문은 '현 정부 결정'에 동조하면서 "(미국과 부합하는)무기체제상 국익 차원에서 정치적 고려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프랑스·러시아·유럽 컨소시엄이 경합하는 FX기종 선택에서 사실상 미국 전투기를 선택하는 게 좋다는 주장으로 비춰졌다.
정계개편 문제에 대해서는 주자들 모두 "인위적이고 정략적인 의도가 다분하다"며 반발했다.
하지만 "신당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한화갑), "경선 후 여야 개혁세력이 한데 뭉칠 수 있을 것"(정동영), "새로운 정계개편은 필요하다"(노무현)는 등 정계개편의 가능성은 부인하지 않았다. 내각제에 대해서 한화갑·김중권 고문이 찬성론을 편 반면 김근태·노무현·이인제 고문과 유종근 지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