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중앙일보를 읽고…

수능 부정 감독소홀 책임도 물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12월 2일자 1면에 '대리 수능 의심 27명 적발'기사가 보도되는 등 휴대전화를 이용한 수능 부정 행위가 잇따라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 대리시험을 치렀다고 자수하는 학생도 속속 나오고 있고, 입시학원장의 개입까지 드러나고 있다. 사태 추이에 따라서는 수능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폭발, 학부모와 학생들이 재시험을 요구할지도 모르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문제는 수능 부정과 관련해 부정을 저지른 학생만 나무라고 처벌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당국은 학생들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수능시험 감독을 제대로 했는지, 수능 관리 감독에 최선을 다했는지 답해야 한다. 인터넷에는 시험 중 휴대전화를 갖고 있어도 감독관이 이를 제지하지 않았거나 감독관이 신문을 보거나 졸았다는 고발이 속속 올라오고 있지 않은가. 이런 감독관의 소홀한 관리감독과 온정주의, 교육당국의 무사안일과 방만함이 수능부정이라는 오늘의 결과를 초래했다고도 볼 수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수장인 교육부총리는 이번 사태가 더 악화하기 전에 책임을 통감하고, 사죄와 함께 조용히 물러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경찰 역시 혹시라도 대입 일정 등의 촉박과 여론을 의식해 수박 겉핥기식 수사로 마무리 지으려 해선 안 될 것이다.

박동현.서울 구로구 구로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