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탐구] 뜨거운 선거 열기… 단위농협 조합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경북의 읍 ·면 지역이 단위농협 조합장 선거 열기에 휩싸여 있다.

상당수 지역은 과열현상이 빚어지면서 당선자가 금품제공 등의 혐의로 구속되는 등 후유증도 적지 않다.농협 경북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1백42곳이 선거를 마쳤고,나머지 37곳은 3월말까지 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선거가 이어지면서 농협 조합장 자리에 새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합장은 한마디로 지역 돈줄을 틀어쥔 ‘은행장’이라 할 수 있다.예금을 대출하는 ‘상호금융’과 농기계 구입자금 등 저리의 정책자금을 대출하는 권한도 갖고 있다.

거래 규모도 만만찮다.조그만 조합도 연간 여 ·수신액이 4백억원,규모가 큰 조합은 1천억원에 육박하기도 한다.

이밖에 농자재 공동구매,제품판매,유통,미곡처리장 운영 등 조합의 수익사업인 경제사업까지 합치면 엄청난 돈을 주무른다.

그런 만큼 영향력도 커 ‘유지(有志) 중의 유지’다.

초등학교 졸업식 때 ‘농협 조합장상’이 있을 정도다.읍 ·면지역 행사때도 빠짐없이 초청받는다.의전 서열은 도 ·시 ·군의회 의원,면장 다음이다.지역에서 세번째인 셈이다.

도시나 읍 지역 조합장은 시장 ·군수와 수시로 만날 정도로 예우를 받는다.급여도 연봉이 4천만∼5천만원에 이른다.

포항의 한 단위농협 간부 김모(42)씨는 “조합장은 파워는 엄청나지만 ‘표’를 준 조합원의 민원이나 요구사항이 많아 식사비 ·찻값 등으로 상당액을 쓰는 탓에 실속은 별로”라고 말한다.

그는 또 “이른바 농민운동가 출신이 대거 당선된 데다 조합원의 ‘감시’도 심해져 돈을 챙긴다는 것은 이제 옛날 말”이라고 덧붙인다.

하지만 ‘조합장’이 중요한 경력·경륜으로 평가되는 등 ‘무게’는 여전하다.

이를 바탕으로 성주참외조합의 도길환,군위농협의 김휘찬,울릉농협의 정경호 조합장이 각각 성주 ·군위 ·울릉군수 출마를 선언하는 등 정계로 진출하려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렇다 보니 저마다 조합장 선거에 뛰어들고 있다.평균 1천1백∼1천5백명인 단위 조합 조합원들의 직접선거로 뽑히는 만큼 선거전도 치열해 조합장이나 후보들이 돈을 뿌린 혐의로 구속되는 일도 잦다.

한 단위조합 직원은 “지금도 1억원 이상 돈을 쓰는 후보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돈을 쓰지 않으려 해도 상대후보가 금품을 살포하는 바람에 후보들 모두 돈을 뿌리는 경우도 있다”고 털어 놓았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