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쇄신안 주요 내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당이 7일 당무회의에서 파격적인 쇄신안을 채택했다. 주요 내용은 ▶국회의원.광역단체장 후보의 상향식 공천▶국민 참여 경선제▶집단지도체제로 1인 지배체제 청산▶당정 분리 및 원내총무 권한 강화를 통한 원내 중심 정당으로의 전환 등이다.

막판까지 논란이 됐던 중복 출마는 허용했다. 선호투표제도 도입했다. 하지만 당정 분리를 원칙으로 대통령이 당 대표를 겸임하지 못하게 하고, 같은 사람이 대선 후보와 당 대표에 함께 선출되면 대표 경선 차점자가 대표를 맡기로 했다.

선대위 기구는 대선 때만 대선 후보가 맡고, 지방선거 등 다른 선거 때는 당 지도부가 주도권을 쥐기로 했다. 대선 후보의 공천권 독식을 막는 장치다. 불공정 경선 시비를 없애기 위해 당 대표는 선거등록 3개월 전에 사퇴하도록 했다. 이번만은 시간이 촉박해 예외를 인정했다.

7만명 규모의 전국 선거인단이 2(기존 대의원):3(기존 당원):5(일반 국민)의 비율로 구성돼 국민 참여 경선제를 처음 실시한다. 인터넷 투표도 법적.기술적 문제 해결을 전제로 일반 국민 대의원의 5% 이내에서 도입한다.

당 총재직은 폐지하고, 11명으로 구성되는 최고위원 회의가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구가 된다. 최고위원은 선출직 8명(반드시 여성 1명 포함)과 대표가 지명하는 2명, 원내총무 등으로 구성된다. 원내총무는 최고위원에 포함되는 동시에 국회 상임위원장과 상임위 간사를 단수 추천할 수 있어 위상이 크게 강화됐다. 반면 정책위의장은 현행대로 대표가 임명토록 해 희비가 엇갈렸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