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잠수정 먼바다 돌아서 침투 … 기다리고 있다가 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북한 소형 잠수정이 발사한 어뢰에 천안함이 피격·침몰했다는 합동조사단의 발표에 따라 북한의 정찰총국(총국장 김영철 상장·사진)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군 관계자는 20일 “이 정도 공격을 감행하려면 북한의 일반 작전부대로는 힘들다”며 “특수부대인 정찰총국 소행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공작원의 남파 루트를 개척하고 운송하는 역할을 맡았던 작전부 소행일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실패할 경우 뒤따를 국제적 비난과 제재 등의 파장을 고려하면 작전 완성도가 가장 높은 대남침투 전문조직에 맡겼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작전부 소속원은 평소 “임무를 완수하지 못하면 죽을 권리도 없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다고 한다. 또 소형 잠수정과 이를 지원하는 모선이 함께 움직였다는 점도 전형적 작전부의 행태라는 것이다. 사건 발생 20일 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찰총국을 방문한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당시 김정일은 이례적으로 정찰국·35호실·작전부 등 정찰총국 산하 부처를 배경으로 각각 사진을 찍어 각별한 신임을 나타냈다. 이조원 중앙대(정치외교) 교수는 “김 위원장이 천안함 사건 이후 우리 정부가 심증은 있으나 파편 등 물증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확신했을 것”이라며 “이 부대를 공개 방문함으로써 외부적으로는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내부적으로는 격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찰총국은 잠수정과 어뢰의 운용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정찰총국은 인민무력부 소속이었으나 지난해 초 노동당 35호실과 작전부 등을 흡수해 확대개편됐다.

한편 북한은 2002년 2차 연평해전 이후 천안함 등 우리 함정 관련 자료를 수집해 왔다고 대북 소식통이 전했다. 소식통은 “1, 2차 연평해전을 통해 80여 명의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했다”며 “북한은 해외 대사관의 무관들을 통해 함정 제원 등을 조사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해 11월 대청해전에서 패배한 후 보복 공격을 결심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천안함은 1999년 1차 연평해전에 직접 참여했다. 군 관계자는 “정밀 공격을 실시하려면 오래전부터 레이더 등으로 천안함 등의 움직임을 면밀히 살폈을 것”이라며 “사건 발생 전에도 수차에 걸쳐 백령도 인근 지역을 답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정용수 기자
그래픽=김주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