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통신기술, 엠피온 하이패스 내비 체험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하이패스 단말기 보급대수가 250만대를 넘어서면서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이용해 도로 전방의 주행차량 속도와 양을 계산해 목적지까지 예상 도착시간과 정보를 알려 주는 이른바 '도로교통정보 시스템'이 주목을 끌고 있다.

이 시스템은 하이패스 단말기를 장착한 차량이 도로를 지날 때 도로 옆에 설치된 기지국에서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평균 주행속도와 소요시간을 계산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현재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 3대 중 한 대 꼴로 실제 교통정보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해 교통정보의 신뢰성이 다른 교통정보에 비해 높은 점이 특징이다.

지난해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하고 서울통신기술이 구축한 양재∼안성(58Km), 신갈∼호법(31Km) 구간 교통정보시스템 시범지역에 하이패스를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를 체험해봤다.

교통정보서비스는 서울통신기술이 출시한 엠피온 하이패스 내비’를 통해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오전 9시. 서울 올림픽공원 북2문을 출발하기 전 엠피온 하이패스 내비를 작동시켰다. 기존 내비게이션과 화면과 달리 '엠피온 하이패스 입니다' 라는 안내음성이 들렸다.
외곽순환도로를 지나 서울 요금소를 지나자 내비게이션 화면 가운데 안내 창이 보였다.
서울요금소∼신갈 통행속도 80㎞ 라는 메시지를 시작으로 주행 도로의 구간별 통행속도가 나열된다. 원하는 구간을 선택하면 ‘소요시간 10분’이라는 추가 정보가 음성으로 안내해 준다.

정보화면 좌측 상단의 소통정보를 클릭하니 내용을 입체화한 교통정보가 보인다. 서울톨게이트-신갈분기점-수원인터체인지를 그림으로 표시하고 각 구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표시해준다.

이 같은 교통정보는 현재 노변을 따라 설치된 30개소 기지국을 통해 자동 업데이트되며 동시에 차량이 기지국을 지날 때마다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과연 제공해주는 이 같은 정보가 정확할까? 서울 요금소를 막 통과한 시간이 오전 10시 50분. 교통정보시스템은 신갈분기점까지 9분이 소요된다고 표시됐다.

하지만 요금소 근처는 차량이 많아지면서 속도가 떨어져 10분 안에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을지 가 의문이다. 하지만 요금 소에서 1㎞를 내려오자 지체가 줄어들면서 속도를 평균 60㎞로 유지하며 달릴 수 있었다.

결국 신갈 분기점에 도착한 시간은 10시 58분이었다. 교통정보시스템이 제공한 정보와 거의 일치했다. 상행구간도 하행과 똑같은 결과가 나왔다.

서울통신기술 주흥돈 상무는 “도로 전방의 실제 소통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또 정확한 속도와 시간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시스템의 장점이다”고 말했다.

조인스닷컴 양선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