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지역 정치권 ‘선거 꼼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6.2지방선거 여야가 충북 청원지역 선거공약으로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을 내걸었다. 3개월 전 지역 주민들의 의견에 반해 통합 반대를 외치던 때와는 정반대다. 이를 두고 현지 유권자들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표를 의식한 꼼수”라며 비난하고 있다.

한나라당 소속인 김병국 청원군수 후보, 청주·청원 지방의원 후보 등 공천자 43명은 3일 오전 10시 한나라당 충북도당에서 ‘2012 청주·청원통합 협약식’을 열었다. 이들은 “통합 찬성 단체와 연계 속에 통합의 당위성을 홍보해 2012년 총선 전까지 반드시 통합을 이루자”고 결의했다. 한나라당 소속 정우택 지사도 지난달 20일 출마 회견에서 “범도민적 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자율통합 과정을 밟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한나라당 충북도당은 2월 통합에 반대했던 청원군의회 소속 의원 6명 가운데 5명을 이번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배제했다.

이에 앞서 이시종 지사 후보, 한범덕 청주시장 후보, 이종윤 청원군수 후보를 비롯한 민주당 청주·청원지역 출마자 50여 명은 2일 청주 국민체육생활관에서 열린 6·2 지방선거 필승결의대회에서 “당선될 경우 임기 개시일인 7월 2일부터 즉시 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같은 모습은 불과 3개월 전에 보여준 청원 지역 단체장과 지방의회 모습과는 전혀 상반된 것이다. 청원군의회는 2월 만장일치로 청주와의 통합 반대를 의결한 바 있다. 당시 청원군 의회 의원 12명 가운데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절반씩 차지했었다. 이후 재임기간 내내 청주·청원 통합을 반대하다 선거법 위반으로 지난해 12월 중도 하차했다.

이처럼 청원 지역 후보들의 태도가 돌변한 것은 지역 여론 때문이다. 2월 청원군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 결과 ‘통합 찬성’ 의견이 70%가 넘었다. 이런 상황에서 군 의회의 일방적인 반대로 통합이 무산되자 지역 주민들의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충북참여연대 송재봉 사무처장은 “지역 여론을 의식해 하루아침에 태도를 바꾼 지역 후보들을 보니 씁쓸하다”고 말했다.

청주=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