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러닝 지적재산권 법규 마련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e-러닝(e-learning)의 인프라 발전 속도는 빠르지만 교육 방법은 개선할 여지가 많다."

온라인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난 11일 한국방송통신대 주최로 열린 '제3회 국제 e-러닝 워크숍'에서 나온 지적이다. 참석자들은 단순히 책 내용을 온라인상에 띄우는 방식으로는 e-러닝의 효과를 높일 수 없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해 개개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맞춤형'학습 교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들이 머리를 맞대고 공동으로 노력하는 것이 지름길이라고 지적했다.

워크숍에서 황대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고등 교육에서 하나의 학습 방법으로 자리잡은 e-러닝이 좀더 발전하려면 시민단체.연구원.학자.업계 관계자.공무원 등이 모여 e-러닝 활용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온라인상에서의 정보 교류가 e-러닝의 핵심이라면서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적재산권 보호 등 관련 법규가 정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양사이버대학교 류완영 학장은 2001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17개의 사이버대학이 탄생했지만 신입생 등록률이 매년 떨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사이버대학의 문제인 ▶오프라인 교재의 단순 온라인화▶천편일률적 학습단계▶교수와 학생 간, 그리고 학생 간 상호작용 없는 일방형 의사소통을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류 학장은 "사이버대학이 고등.평생교육기관으로 자리잡으려면 사이버대학의 올바른 방향과 비전이 설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e-러닝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다양한 해외 사례도 소개됐다.

러시아 FENU대학의 온라인 프로그램 담당 교수인 알렉세이 팔라레프는 "컴퓨터로 이뤄지는 e-러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적 교류가 강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인터넷을 통한 교육뿐 아니라 화상회의와 캠퍼스 내 오프라인 교육 등을 함께 이용하는 혼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일본의 온라인 교육업체인 NIME의 쓰네오 야마다 교수는 "일본에는 디지털 학습 자료를 공유하고 재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교육기관들이 디지털 학습교재를 함께 개발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하다며 NIME 같은 업체들이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창희.박성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