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양성 체제 대수술] 학부모·교육계 대체로 환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학부모와 교육계 인사들은 "자질이 부족한 사람들이 교단에 설 수 없게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면서 대체적으로 환영했다. 교원자격증이 남발되고 교육대학원이 부실해 교사 양성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는 점에도 공감했다. 교원 임용고사를 강화하고 교생실습 기간을 연장하는 것에는 입장이 엇갈렸다.

◆ 교육대학원 달라져야=서울대 사대에 다니는 이승민(지구과학교육4)씨는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을 나와도 교사자격증을 받을 수 없게 하고 사범대를 질적으로 강화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사범대 정원 조정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권대봉 고려대 교육대학원장은 "사범대의 경우 수준 차이가 크다"면서 "중등교원의 30%만이 임용되는 등 공급과잉이 빚어지는 만큼 사범대 정원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실한 교육대학원도 도마에 올랐다. 허형 중앙대 교육대학원장은 "사범대도 없고 교직 관련 전공 교수도 없는 대학이 교육대학원을 만들어 '돈 장사'를 하고 있다"면서 "교육대학원의 엄격한 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희연 세종대 교육대학원 교학부장은 "교원 양성을 위한 여건을 갖추기 힘든 대학에 교육대학원 인가를 내준 교육부에도 책임이 있다"면서 "사범대가 없더라도 우수한 학생이 지원하는 교육대학원도 많다"며 정부 방안에 반대 입장을 보였다.

◆ 실습 기간 연장 논란=신정기 한국교총 예비교원 국장은 "교사 자질을 충분히 갖추기 위해 실습 기간을 늘리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권대봉 대학원장은 "단순히 기간만 늘려 형식적인 실습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면서 "임용시험에 합격해 교사가 되려는 사람만 6개월에서 1년간 집중 실습을 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 교사 임용시험 개선은=허종렬 서울교대 교수는 "지필고사의 비중을 낮추고 실기고사를 강화하는 것에는 찬성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한 사범대생은 "수업 실기 능력을 평가한다고 교사의 질이 충족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 "교육과정에서 교생실습 평가를 강화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하병수 전교조 참교육연구소 사무국장도 "개선안대로 임용고사를 치를 경우 수험생의 부담만 커지고 오히려 사교육기관으로 몰릴 것"이라면서 "교원 양성 인원을 대폭 줄이고 임용고사를 자격고사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