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제조기업대상] 첨단부품 소재 '희성금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금.은 등을 활용해 정보전자 부품소재를 만드는 희성금속은 직원 1인당 매출액이 5억원이 넘는다. 직원 320명이 연간 1700억원의 매출을 올린다.

국내 가공금속소재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시장에서도 부문별로 10%안팎의 시장점유율을 갖고 있는 소재가 여러개 있다.

희성금속은 1974년 금성사(현 LG전자).금성통신이 일본 다나카(田中)귀금속공업과 합작해 인천광역시 남동공단에 설립한 회사다.

이 회사는 지난 30년간 다나카귀금속공업으로부터 자본투자를 받았을 뿐 독자적 기술개발체제를 다졌다. 귀금속 도금재로 출발한 이 업체는 액정화면(LCD) 유리와 반도체 부품, 자동차 소재(연료전지) 등 첨단 고부가가치 전자소재를 만든다.

희성금속은 1998년 말 외환위기로 경영이 어려워졌을 때 구조조정보다는 첨단소재 연구와 품질경영에 매달렸다.

1999년부터 '6시그마'운동을 벌였다. 전 직원이 설계.생산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불량을 줄여 낭비요소를 없앴다. 또 임직원의 근무체질을 개선했다. 직원들에게 정리.정돈.청소.청결.바른자세 등의 자세를 몸에 익히도록 했고 재해.불량.고장이 없는'로스(Loss) 제로(0) 운동'도 함께 추진했다.

이 회사의 김관수 부사장은 "모든 설비와 생산라인은 물론 사람까지 체질을 개선시켰다"며 "품질을 올리면서도 생산단가를 낮춰 국내 금속소재시장을 장악하던 일본 업체를 따돌렸다"고 말했다.

희성금속은 지난해 1700억원의 매출에 80억원의 경상이익을 냈다. 이 경영실적은 6시그마 운동을 시작한 99년(매출 1329억원, 경상이익 40억원)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