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언론 탄압… 국난 닥쳤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4일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 10층 대강당에서 열린 '김대중(金大中)정권 언론탄압 규탄대회' . 의원 등 5백여명이 '정권 연장 언론탄압 노벨상이 부끄럽다' '국정조사하라' 는 구호를 외쳤다. 가슴엔 '언론탄압 중단하라' 고 적힌 빨간 리본을 달았다.

"국난(國難)의 시점에 서 있다. "

이런 분위기에서 연단에 오른 이회창(李會昌)총재는 이렇게 규정했다.

"언론 자유가 살아남느냐, 죽느냐의 시점이다. 언론 개혁의 본질은 정권.권력으로부터 공정하고 정의로운 언론을 지켜내는 것인데 (현 정권은) 사주(社主)영향을 배제한다며 언론을 제압, 눈치보게 만들고 있다. 정권 연장 강박 때문이다. "

그러면서 "완벽하게 공정한 조사였다" 는 金대통령의 발언도 문제 삼았다. 그는 "사법 절차에서 한푼이라도 깎이면 대통령이 책임지겠느냐" 고 따졌다.

홍사덕(洪思德) 의원은 "언론이 비판기능을 상실하면 대한민국의 본질이 변한다" 며 "북한은 이미 50년 전부터 그 지경이 됐다. 지금은 우리가 북을 닮을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하는 투쟁, 대한민국의 본질을 지키기 위한 투쟁" 이라고 강조했다.

격한 규탄이 이어졌다.

▶이경재(李敬在)홍보위원장=자유언론 덕분에 권좌에 오른 金대통령이 언론을 학살하고 있다. 정권을 연장하는데 '빅3(중앙.동아.조선)' 가 눈엣가시였을 것이다. 사주가 손을 떼게 해 주인 없는 신문, 친여(親與)신문을 만들겠다는 의도다.

주인 있는 신문들은 당당히 권력을 비판해 왔지만 주인 없는 신문 대부분은 현 정권에 아부하고 주구(走狗)가 돼 있다. 대통령은 공영방송사 두 곳의 사장과 핵심 간부를 특정 지역 인사로 채워 놓았다. (방송사엔)간섭이 필요없다. 알아서 잘 기니까.

▶정병국(鄭柄國)의원=이번 음모는 언론장악 문건, 중앙일보 사주 구속 등 시뮬레이션을 통해 준비된 것이다. 1980년 언론 통폐합 조치에 비견할 만한 정치 폭력이다. 노벨상을 받기 전에 세무조사를 했다면 받을 수 있었겠느냐.

▶현경대(玄敬大)전당대회 의장=이번 세무조사는 언론 기업을 차별하는 등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 또 무가지나 무수입 광고 게재를 탈세로 몰아 국세기본법상 신뢰 보호와 실질 과세 원칙을 위배했다.

앞서의 당무회의에서 '언론 세무조사 결과 분석팀장' 인 나오연(羅午淵)의원은 "(빅3별로) 8백여억원의 추징액 중 2백억원을 빼곤 전혀 문제가 되지 않더라" 고 설명했다.

고정애 기자

사진=장문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