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보재정 통합 시기상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직장의보와 지역의보 재정 통합을 둘러싸고 여권.시민단체는 예정대로 내년 1월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야권.경총.의협 등은 재정 분리를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지난달 국민 건강보험법 중 재정 분리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며, 한국노총과 경총.교총.의사협회 등 6개 단체는 재정 분리를 위한 법 개정 청원서를 국회에 냈다.

의보 재정의 통합이나 분리는 나름대로 일장일단이 있다. 특히 직장인들도 회사를 떠나게 되면 지역의보의 우산 아래 들어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의보 재정을 전혀 별개의 주머니로만 보기는 어렵다. 그런 점에서 연간 8백만명이 실직.전직 등으로 직장과 지역 의보를 오가는 현실에서 통합론 주장엔 일리가 있다.

그러나 의보 재정 통합을 위해선 몇 가지 선결 조건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선 직장.지역 의보 가입자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 문제를 꼽을 수 있다. 소득이 유리알처럼 노출된 직장인들의 경우 소득 수준에 따라 보험료를 꼬박꼬박 납부하고 있다. 반면 지역의보는 가입자의 소득 파악률이 26%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무리하게 의보 재정 통합을 강행한다면 위헌 시비에 휘말릴 가능성마저 없지 않다. 또 재정 통합 이전에 당국의 의보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 정부는 몇 개월 앞도 내다보지 못한 채 '의약분업이 이뤄지면 국민 부담이 오히려 줄어든다' 고 강변하지 않았던가. 직장의보 재정마저 구멍이 뚫릴 위험한 수준이라고 한다. 여기에 두 부실재정을 합쳤을 때 오는 재정 파탄은 과연 누가 책임질 것인가.

정부는 지역의보 가입자들의 소득 파악률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보험료 부과 체계를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이달 말 발표 예정인 의보 재정난 종합대책에 현실성 있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내용들을 담아 내야 한다. 그런 연후에 의보 재정 통합이든, 분리든 정책 방향을 다시 정해도 늦지 않다. 선거공약에 얽매여 의보 재정난을 더 악화시킬 수는 없지 않은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