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지역 고교 보충수업 논란 '진행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 ·울산지역 일부 고교가 교육부가 금지한 보충수업을 실시하자 이를 놓고 교사·학부모 사이에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들 지역 상당수 고교는 신학기부터 교과서를 활용한 예 ·복습과 수능대비 문제풀이식 지도 등 편법 보충수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교조 등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

전교조는 참교육을 위해 보충수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데 반해 상당수 학부모들은 보충수업 ·자율학습을 전면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태=전교조 부산지부 조사 결과 부산지역 인문계 고교 상당수가 1 ·2학년을 대상으로 특기 ·적성 교육을 이유로 교과 위주의 보충수업·자율학습을 반강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K ·D ·B ·S 등 8개 학교는 2학년을 대상으로 사실상 보충수업 형태의 방과 후 수업을 주 6시간 이상 실시하고 있다.

또 H ·K ·D 등 4개 학교는 반강제적 야간 자율학습을 실시하는 것으로 전교조 조사 결과 드러났다.

전교조 부산지부는 부산에서 편법 보충수업을 하는 고교가 수십 곳에 이른다고 주장하고 있다.울산의 U·H고교와 H여고 등도 오후 늦게까지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일부 교과목을 제한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특기 ·적성교육은 허용하되 보충 ·자율학습은 금지했다.

◇반대=전교조 부산지부는 “현재 상당수 학교에서 드러내 놓고 반강제로 자율학습과 특기 ·적성 교육을 빙자한 보충수업을 하고 있다”며 “학교가 또 입시학원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편법 보충수업이 기승을 부리면서 부교재 출판사 직원들이 보충수업 운영을 부추기고 이를 의도적으로 다른 학교로 전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교조는 또 “일부 고교는 ‘학교발전기금’명목으로 학생들의 자율학습 감독비나 보충수업비를 학급당 수백 만원씩 할당해 학부모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고 밝혔다.

전교조 부산지부는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해 편법 보충수업을 강행하는 학교에 대해 감사원 감사를 요청할 계획이다.

전교조는 “수차례 부산시교육청에 편법 보충수업을 하는 학교를 고발했지만 형식적인 주의 조치에 그쳤다”고 말했다.

울산시교육청 홈페이지에는 보충수업을 반대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찬성〓보충 수업을 하는 학교의 상당수 학부모들은 “교육부 지시대로 하면 학생들이 대학에 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며 “보충수업을 해서라도 실력을 쌓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지역 고교생 학부모 1백20여 명은 지난달 30일 부산시교육청 앞에서 보충수업 ·자율학습 허용 등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이 폐지된 상황에서 학생들이 방과 후 갈 곳은 사설학원 밖에 없다”며 “대입제도가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고교생의 보충수업 ·자율학습 ·모의고사 실시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교육청 입장〓부산시교육청은 특기 ·적성 교육을 활용해 방과 후 교육을 강화한다는 생각이다.곽우신(郭宇信)중등교육과장은 “일부 학교에서 특기 ·적성 교육의 금지 사항을 잘 모르고 편법 보충수업을 했을 수 있다”며 “자율학습을 교육부 지침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운용하면서 학력신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철저히 지도 ·감독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가 일부 교과목을 제한적으로 특기 ·적성교육을 하도록 한 것을 확대해석해 자율학습을 하는 것 같다”며 “법적으로 금지된 보충 ·자율학습을 하지 않도록 단속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관종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