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첨단소재 특구' 지정 총력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 지난 10일 포항시청 민원실에서 시민들이 ‘포항 첨단소재 특구’ 지정을 촉구하는 서명을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첨단소재 연구개발(R&D) 특구'지정을 위해 포항시가 팔을 걷어붙였다.

R&D특구는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으로, 정부가 연구.개발 관련 업체의 입주와 운영에 필요한 세금 감면 등 각종 혜택을 주는 지역을 뜻한다. 포항시는 영일만 신항 배후단지(180만평), 포항테크노파크(87만평)와 인근 포항공대 및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3개 지역 447만평을 특구 후보지로 정했다.

◆ 유치 열기=포항시는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포항공대.RIST.포항테크노파크와 함께 '특구 유치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여 12만명의 서명을 받았다. 시 본청.구청 등에 서명창구를 만들고 도심에서 시민 서명을 받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애초 10만명을 목표로 했지만 시민들의 뜨거운 열기 덕에 참여자가 예상보다 훨씬 많았다"고 말했다. 시는 이달 안으로 서명부와 함께 지정 건의서를 과학기술부와 국회에 전달하고 특구 지정의 당위성을 알릴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포항상공회의소와 시의회 등은 정부 및 국회에 첨단소재특구 지정을 건의했으며, 경북지역의 시.군 의회 의장단과 경북의 한나라당 의원들도 이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정장식 포항시장은 "포항은 철강 신소재, 나노 전자소재, 바이오 의료소재, 에너지소재 등의 분야에 3000여명의 연구 인력이 있는 등 특구의 지정 요건을 충분히 갖춘 도시"라고 강조했다.

◆ 유치 효과 및 전망=포항시는 특구로 지정되면 연구.개발의 성과로 50개 이상의 핵심적인 기업이 생길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이에 따라 1만명의 연구 인력과 근로자 10만명을 고용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생산 유발 효과는 1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했다.

시의 김규만(44)첨단산업담당은 "포항은 신항만.포스코.방사광가속기와 포항공대의 연구인력 등 인프라가 잘 갖춰진 만큼 특구 지정을 낙관한다"고 말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