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이냐 규제냐 미국서도 뜨거운 감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시장자율에 맡길지, 아니면 정부가 계속 규제를 하는 것이 좋은지 고민하기는 미국도 예외가 아니다. 캘리포니아 전기회사의 경영난과 관련, 정책 입안자들이 고민에 빠졌다.

캘리포니아주 최대 전력회사인 서던캘리포니아 에디슨(SCE)과 퍼시픽 가스 앤드 일렉트릭(PG&E) 등 민간 전력회사들은 자신들이 사오는 전력도매가격은 급등했으나 소비자들로부터 받는 전기요금은 주정부의 규제로 올릴 수 없어 현재 극심한 자금난에 몰려 있다.

SCE의 경우 지난해까지 누적손실이 49억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PG&E는 현재 매시간 1백만달러씩 손해를 보고 있다.

두 회사는 주정부의 도움이나 전기요금 인상조치가 허용되지 않으면 3주일 내에 현금이 바닥난다고 주장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력회사들의 부채를 떠안고 있는 은행의 연쇄 위기와 미 경제 침체를 우려, 곧 요금규제를 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경쟁에 의해 민간 전력회사들이 값싸고 질좋은 전기를 공급할 것이라는 이론은 현실과 사뭇 다르다.

실리콘밸리의 전력수요는 해마다 5%씩 증가하고 있으나 캘리포니아에는 지난 10년간 발전시설이 하나도 신설되지 않았다. 따라서 규제가 풀리면 전기료가 급등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캘리포니아 공공요금위원회(CPUC)는 최근 전력회사들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7~15%의 전기요금 인상을 결정했다.

그러나 SCE와 PG&E가 주장하던 30%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소비자보호단체들은 물론 민간 전력회사들의 요금인상 주장에 반대하고 있는 입장이다.

로런스 서머스 미 재무장관과 빌 리처드슨 에너지 장관은 곧 두 전력사와 회동을 하고 요금문제를 논의할 방침이다.

홍수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