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부재자 투표가 부정선거 키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뉴욕=신중돈 특파원]미국의 부재자 투표가 부정선거의 온상이라고 월 스트리트 저널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1996년 이후 드러난 주요 부재자투표 부정사건은 17개주 20여건이며 그냥 넘어간 사례까지 포함하면 훨씬 많다고 지적했다.

부재자 투표 부정은 대부분 노년층 유권자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또 선거 브로커들은 영어를 모르는 히스패닉계와 투표를 할 수 없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97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시장선거에선 브로커들이 노인 유권자의 부재자 투표과정에서 특정 후보를 찍도록 유도한 사실이 밝혀져 4천5백여표가 무효 처리됐고 당락이 뒤집혔다. 98년 피츠버그 검찰총장 선거에서도 부재자 투표 부정이 발각됐다.

부재자 투표는 남북전쟁 이후 70년대까지 군인들이 주요 대상이었으나 투표율이 곤두박질치면서 대상이 대폭 늘어났고 급기야 원하는 사람 모두에게 부재자 투표를 허용하는 주까지 등장했다.

오리건주는 모든 투표가 우편으로 이뤄지고 워싱턴주는 절반 가량이 우편으로 투표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부재자 투표를 해야 할 이유를 밝히지 않아도 유권자가 원하면 이를 허용해 올해 대선에서는 25%가 우편 투표를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