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금호에 특혜 발주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전남도가 1천6백억원이 넘는 대형 공사를 발주하면서 입찰조건을 지나치게 제한하고 규정을 어기면서 조달청을 통하지 않고 자체 발주했던 사실이 감사원 감사에 적발됐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에서는 지역연고가 있는 특정 업체에 특혜를 주기 위한 조치였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남도의회 김창남(金昌南)의원은 13일 "전남도가 압해대교 가설공사 발주와 관련, 지난 7월 감사원으로부터 주의를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고 밝혔다.

압해대교(약도)는 목포와 신안군의 압해도를 잇는 길이 1천8백40m, 너비 20m(왕복 4차로), 교각 간격이 최대 1백50m인 연륙교(連陸橋). 금호산업 등 5개 회사가 참여한 금호컨소시엄이 지난 6월 1천6백11억원에 낙찰해 2005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감사원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공사는 규모가 1천억원이 넘는 데다 설계.시공이 일괄입찰(턴키)대상 사업으로 조달청장에게 발주를 의뢰해야 하는데도 전남도가 이 규정을 어기고 직접 발주했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또 "전남도가 입찰 자격을 너무 심하게 제한, 소수의 특정업체만 참여하게 됐다" 고 지적했다.

전남도는 입찰 자격을 '최근 10년 이내, 교각 간격 75m 이상의 해상 연륙.연도교 준공 실적 업체' 로 정해 발주해줄 것을 조달청에 의뢰했다가 거부당하자 자체 발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공사에는 금호산업이 중심이 된 금호컨소시엄과 ㈜삼호가 중심이 된 삼호컨소시엄이 응찰했다.

그러나 삼호컨소시엄 지분의 90%를 갖고 참여한 ㈜삼호는 금호컨소시업에 참여한 대림산업과 함께 대림 기업집단에 속한 기업이어서 금호측의 단독 입찰에 따른 유찰을 막기 위해 들러리를 선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도의회 金의원은 "불공정 입찰로 공사비 낙찰률(94.8%)이 매우 높아져 국고를 많이 축낸 결과가 빚어졌다" 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남도는 "고도의 기술력과 안전성이 필요해 자격을 엄격히 제한했을 뿐 특정 업체를 염두에 뒀던 것은 아니다" 고 밝혔다.

광주=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