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진승현 게이트' 추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근영(李瑾榮)금감원장이 27일 국회 정무위에 나왔다.

'정현준(鄭炫埈)게이트' 로 곤욕을 치렀던 그는 한달 만에 터진 '진승현(陳承鉉)게이트' 의 책임을 따지는 의원들의 추궁에 또 한차례 진땀을 흘려야 했다.

신용금고의 연쇄 사고에 대해 의원들은 "금감원과 금융기관이 뇌물을 고리로 유착했거나 (금감원이)사고를 방지할 능력이 없기 때문 아니냐" 고 몰아붙였다. "사고 방지 능력이 없는 '금융깜깜원' 은 해체돼야 한다" (자민련 安大崙.전국구)는 질책도 나왔다.

한나라당 서상섭(徐相燮.인천 중-동-옹진)의원은 "陳씨가 신인철 한스종금사장을 통해 구속된 김영재 전 부원장보 등 금감원에 로비를 한 게 사실 아니냐" 고 캐물었고, 같은 당 엄호성(嚴虎聲.부산 사하갑)의원은 "金전부원장 외에 금감원 내부에 막강한 바람막이가 있는 것 아니냐" 고 따졌다.

이성헌(李性憲.서울 서대문갑)의원은 "금감원과 검찰이 진승현에게 초점을 맞추고, 정작 심각한 문제인 한스종금 사건의 전모를 감추려 하고 있다" 며 "은폐용 조사" 란 의혹을 제기했다.

금감원의 늑장대응도 지적됐다. 민주당 조재환(趙在煥.전국구)의원은 "지난 1월 증권거래소는 陳씨가 부회장인 MCI코리아가 리젠트증권 주식을 시세조종한 혐의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열린금고를 통한 통정매매(通情賣買)를 적발했는 데도 금감원이 이를 조사하지 않았다" 고 추궁했다.

불법대출 방지책 마련을 위한 강력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상호신용금고법을 고쳐 금고의 여수신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민주당 李訓平.서울 관악갑)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박병석(朴炳錫.대전 서갑)의원은 "두번 이상 사고를 낸 금고는 자동으로 영업을 정지시키는 삼진아웃제 도입이 필요하다" 고 주장했다.

李원장은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친데 대해 감독책임자로서 충심으로 죄송하다" 고 말했다.

금감원 해체요구에 대해서는 "조직을 만든 지 2년 밖에 안됐다. 좀더 운영해본 뒤 검토하는 게 좋겠다" 고 답변했다.

李원장은 "K.K씨와 S씨 등 권력 실세들이 (정현준.진승현 게이트) 개입돼 있다는 루머가 있다" 는 안대륜 의원 질의에 "금고는 대개 2~3년에 한번 조사하는데 열린금고는 1년새 세번이나 조사했다" 며 "그런 혐의가 있다면 세번씩이나 조사할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 고 부인했다.

이정민 기자

사진=최승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