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 칼럼] 신공항 고속도로의 원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비싸다" "안전하지 못하다" "진출입이 어렵다" ….

인천국제공항 가는 길이 개통되자 기다렸다는 듯 비판이 쏟아진다. 때문인지 현장 기술자들 표정이 어둡다.

"안전한 다리를 만든다는 일념에 지난 5년간 그 추운 겨울에도 다리의 용접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모닥불조차 지피지 않고 견뎠습니다." 영종대교 기술부장 신현양 박사의 점잖은 항변(抗辯)이다.

기술자들은 인천 앞바다의 세찬 바람을 바다 위 40~1백m에서 맞으며 교각을 세우고 철줄을 매달아 세계 최초의 2층.3차원.자정식(自碇式) 현수교를 건설했다.

인천국제공항 하이웨이에는 '과거' 가 있다. 정부는 이 도로 조사.계획에만 10년을 끌었다. '접근로 없는 공항' 이 불가피할 정도로 일정.재원에 쫓긴 끝에 이 도로는 1995년 말 민자유치사업이 됐다.

이 도로를 민자사업단은 국제통화기금(IMF)위기도 뚫고 예정된 공기(工期)대로 5년 만에 해냈다.

당초 공항개항보다 1년 넘게 늦을 것이라던 예상을 뒤엎었고, 공사비도 15%나 절감했다. 오히려 공항개항이 지연돼 정부가 민자사업단에 손실금을 물어줘야 하는 희한한 경우까지 생겼다. 이처럼 민자유치 1호사업 인천국제공항 하이웨이는 '성공작' 인 셈이다.

인천시민 이용 여부는 전문가들이 이미 6년 전에 결론을 냈다. "공항전용도로라 안된다" 였고, 전문가들은 더 나아가 중간에 들락거리는 통행로도 막았다.

대신 일반에 알려지진 않았지만 도로 곳곳에 비상 진.출입로가 7곳, 정 급할 땐 중앙분리대도 치울 수 있는 도로로 설계됐다.

비싼 통행료도 '민간투자비 회수를 보장한 계약조항' 이 원죄(原罪)다. 아예 고속도로 통행량이 하루 11만대가 안될 경우 수입부족액을 정부가 물어주는 조항도 있다.

통행료 보조에 세금을 쓸 것인가, 아니면 이용자부담을 늘릴 것인가. 정부의 결정을 분명하게 알려야 한다.

대신 대안이 있어야 한다. 수도권 주요 도시에 공항 터미널을 운영하면 좋다. 서울시는 김포.반포.도봉.서울역 등지에 새 공항 터미널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공항 개항 때까지 계획대로 된다면 통행료는 문제가 안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기는 제2연륙교.신공항철도를 서두르는 일이다.

음성직 수석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