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노조 창구 단일화해야 교섭 가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앞으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교원노조 간에 교섭창구가 단일화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교섭을 거부해도 부당노동행위로 처벌받지 않을 전망이다.

노동부는 3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교원노조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교과부 장관과 시·도교육감, 사립학교 설립·경영자연합 단체는 교섭을 요구하는 노조가 둘 이상이면 해당 노조에 교섭창구 단일화를 요청할 수 있다. 또 교섭창구가 단일화될 때까지 교섭을 거부할 수도 있다.

기존 교원노조법에는 단체교섭절차와 관련해 ‘조직대상을 같이하는 2개 이상의 노조가 설립된 경우 노조가 교섭창구를 단일화해 단체교섭을 요구해야 한다’고만 규정돼 있었다. 이것도 지난해 말까지만 적용한다고 돼 있다. 이 때문에 1월부터 전국교직원노조를 비롯한 모든 교원노조가 별도로 교섭을 요구할 수 있게 됐다. 이를 근거로 전교조는 1월 초 교과부에 단독 교섭을 요구한 바 있다.

개정안에는 교과부장관 등이 노조와 단체협약을 체결하면 그 유효기간에 단협 체결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노조가 교섭을 요구하더라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도 새로 마련됐다. 또 교원노조 대표자는 단체교섭을 하고자 할 때 서면으로 요구해야 하며 교과부 장관 등은 교섭 요구를 받았을 때 관련 노조가 참여할 수 있도록 이를 공고토록 했다. 교원이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과 소청심사를 함께 청구할 수 있도록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 때 소청심사 청구를 제한하는 규정은 없앴다.

김기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