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그때 오늘

불에 탄 화신백화점, 6층짜리 ‘초고층’ 건물로 다시 태어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화재 직전의 화신백화점. 왼쪽이 ‘선전’ 건물을 증개축한 서관이고 오른쪽이 동아백화점을 매수한 동관이다. 1935년의 화재는 서관에서 일어나 동관으로 옮겨 붙었다. 화재 후 신축된 화신백화점은 당시 서울의 최고층 건물로 ‘입전’터라는장소의 이미지와 잘 부합했다(사진=『신세계 25년의 발자취』).

조선 후기 혜정교 앞에서 탑동 어귀까지(현재의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에서 탑골공원) 뻗은 길은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다닌다는 뜻에서 ‘운종가(雲從街)’라고 불렸다. 즐비하게 늘어선 시전 행랑들과 그 앞의 가가(假家)들에서는 ‘없는 것 빼고는 모두’ 살 수 있었다. 생필품을 구하는 시민들, 자식 혼사를 앞둔 촌로, 벼슬자리와 바꿀 뇌물거리를 찾는 시골 부자들, 그들의 소맷자락에 든 돈을 노리는 소매치기들이 매일같이 모여들었다. 그 길 한복판, 종각 맞은편은 중국산 비단을 취급하던 선전(縇廛)자리였다. 선전은 육의전의 우두머리였으니, 당시 사람들은 ‘선전’의 ‘선’을 ‘서 있다’는 의미에서뿐 아니라 여러 시전 중에서 ‘우뚝 선’ 시전이라는 의미에서도 ‘입전(立廛)’이라고 불렀다.

임오군란 이후 중국 상인들이 서울에 들어오면서 육의전 중 선전이 가장 먼저 곤경에 처했다. 갑오개혁으로 금난전권이 소멸한 뒤 곤경은 더 심해졌다. 1890년대 말, 선전 건물은 신태화라는 상인에게 넘어갔다. 신태화는 여기에 신행상회를 차리고 귀금속 제품을 팔았다. 그 얼마 뒤 신태화의 ‘화’와 신행상회의 ‘신’을 합하여 이름을 화신상회로 바꾸었다. 1931년 박흥식은 화신상회를 매수해 3층 콘크리트 건물로 증개축한 뒤 백화점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이듬해 화신상회 옆에 새로 건립된 동아백화점까지 인수했다.

1935년 1월 27일 오후 7시30분, 화신백화점 서관에서 불이 나 삽시간에 두 건물 모두를 태웠다. 불길이 어찌나 맹렬했던지 멀리서 불빛을 본 시민들이 구경차 몰려나왔고, 경찰만으로는 통제가 되지 않아 헌병대까지 출동했다. 다음 날 열린 화신의 중역회의에서는 ‘초현대적’인 백화점을 새로 짓기로 결정했고, 바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7년 11월 지하 1층, 지상 6층, 총 건평 3011평의 새 백화점 건물이 준공되었다. 한국인 건축가 박길룡이 설계한 이 건물은 당시 서울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을 뿐 아니라, 내부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옥상에 전광뉴스판이 걸려 준공되자마자 장안의 명물이 되었다. 서울에 다녀간 시골 사람이 가장 먼저 받는 질문이 “화신에 가 보았느냐”가 되는 시대가 열렸다.

화신백화점은 1987년에 문을 닫았고, 1999년 그 자리에 삼성 종로타워가 들어섰다. 선전과 화신이 당대에 그랬던 것처럼, 삼성도 현대 한국 재계의 대표이다. 필지 위의 건축물은 여러 차례 바뀌었지만, 장소의 상징성은 지속되고 있다. 역사문화도시란, 오래된 건물만이 아니라 장소가 간직한 기억들도 세심하게 보존되는 도시여야 한다.

전우용 서울대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