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댐 지역 토지보상비 '껑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1992년 10월 착공돼 내년말 준공 예정인 용담 다목적댐(전북 진안군 용담면)은 당초 예정보다 준공시기가 4년 늦어지면서 전체 사업비도 5천6백억원에서 1조4천3백75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토지보상비가 당초 계상한 3천78억원에서 1조1천1백39억원으로 3.6배나 급증, 공기가 늘어났다는 게 한국수자원공사측의 설명이다.

수자원공사가 25일 국회 건교위에 낸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남강.횡성.밀양.용담.탐진 등 현재 건설중인 5개 다목적댐의 전체 보상비는 당초 계상액(7천93억원)보다 3.5배 늘어난 2조4천5백69억원. 이 가운데 5천5백91억원(22.8%)은 예산 부족등으로 아직도 집행이 안 됐다.

공사측은 "일부 댐 건설 예정지에 투기꾼들이 몰려 들어 보상을 노리고 값비싼 농작물을 마구잡이로 심는가 하면 주민들이 보상을 많이 받기 위해 현지 조사를 방해, 보상 시기가 늦어진 것등이 보상비를 늘어나게 한 주 요인" 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공사측은 보상을 노린 영농투기를 막기 위해 토지수용법등 관련 법 개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실제 재배작물' 대신 '전국 농가의 평균 작물 재배소득' 을 실농(失農)보상(작물 재배를 하지 못하는 데 대한 보상) 기준으로 삼자는 주장이다.

공사측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댐 전체 사업비 중 실제 공사비는 평균 16.9%. 나머지 83.1%가 모두 보상비다. 또 전체 사업비의 70~80%는 국민이 낸 세금(국비)으로 충당된다. 따라서 보상비가 늘어나면 결국 국민의 세금부담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대전=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