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남북관계 국민투표 상황 생길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와 영수회담을 열고 앞으로 두 달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만나기로 약속했다.

두 사람은 "신뢰심을 갖고 국정을 함께 논의, 상생(相生)의 정치를 실현하자" 며 이같이 여야 영수회담의 정례화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다음 영수회담은 오는 12월에 열린다.

金대통령과 李총재는 국회에 설치키로 한 남북관계 특위를 가동해 남북관계에 필요한 모든 현안을 국회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 4월 영수회담에서 내놓은 여야 정책협의회를 이달부터 가동해 국정.민생문제를 협의해 나가기로 하는 등 4개 항의 정국 운영방안에 합의했다.

金대통령은 " '낮은 단계의 연방제' 는 국체(國體)와 관련된 문제로 국민적 동의없이 합의해준 것은 문제" 라는 李총재의 지적에 "앞으로의 진전상황을 야당과 협의하겠으며, 남북관계와 관련해 어쩌면 국민투표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박준영(朴晙瑩)대변인은 "통일방안이 나중에 거론되면 국민투표를 할 수 있다는 것" 이라고 설명했다.

金대통령과 李총재는 국회에 계류 중인 민생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협조하기로 하고, 공적자금의 사용에 대해 국회에서 철저히 조사.감시해 투명성을 확보키로 했다.

두 영수는 "현재 경제상황이 위기는 아니나 조심해야 한다" 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의약분업 문제는 진행 중인 의.정(醫.政)협상을 지켜본 뒤 다시 논의키로 했다.

내년부터 실시예정인 2천만원 한도의 예금자 보호제도와 관련, 金대통령은 "정부도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며 유보가능성을 비췄다.

李총재가 한빛은행 사건의 특검제를 요구하자, 金대통령은 "검찰 수사를 지켜본 뒤 국회에서 판단할 문제" 라고 말했다.

이어 金대통령은 선거사범 수사도 "검찰이 공정하게 수사해야 하며, 정치권은 이를 지켜보는 것이 좋다" 고 강조했다.

김진국.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