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리튬 2차전지 항공운송 규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미국이 폭발·화재 위험을 이유로 비행기를 통한 리튬 2차전지의 대량 운송을 규제할 방침이어서 휴대전화 등의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20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30일 리튬 2차전지를 비행기로 운송할 경우 무게를 제한하고, 폭발을 막기 위한 특수포장을 의무화하는 안전 규제안을 입법 예고했다. 또 한국·일본 등에 3월 12일까지 의견 제출을 요구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시계 등에 들어가는 리튬전지는 폭발 위험이 있지만 충전이 되는 리튬 2차전지는 안전하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휴대전화 수출액은 286억8000만 달러(잠정치)고, 이 가운데 대미 수출액은 83억5000만 달러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 휴대전화의 99%(금액 기준)는 선박이 아닌 항공기로 수송됐다. 해외 공장에서 미국으로 항공 수출하는 휴대전화도 많아 이번 규제안은 적지 않은 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말 일본배터리협회가 공동 대응을 요청해 왔다”며 “국내 업계와 기술표준원 등이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12일 1차 대책회의를 열었고, 25일 다시 회의를 열어 대응 논리와 방법을 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연방항공청(FAA)은 지난해 미국 교통부에 리튬전지와 리튬전지를 포함한 제품 등의 수송에 관한 위험물질 규정(HMR)을 개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2006년 리튬전지를 실은 화물기가 화재 사고로 비상 착륙하는 등 리튬전지로 인해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했다는 게 이유였다.

2차전지 업계는 방전된 상태나 전극접촉을 차단한 상태로 리튬2차전지를 수송하면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미 정부의 규제 강화로 2차전지의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신기술 개발이 필요해졌다고 보고 R&D(연구개발)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