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우선 분양, 서울 25% 줄고 경기 32%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4면

인천에 사는 김모(42)씨는 고민이다. 정부가 서울·수도권 66만㎡ 이상 공공택지의 지역우선 물량을 늘리기로 하는 데 따라 직장이 가까운 수원 광교신도시 입성 기회가 줄었기 때문이다. 김씨는 “인천지역 당첨 확률은 높아졌지만 정작 내가 원하는 광교신도시 당첨 기회는 줄었다”며 “주소를 수원으로 옮기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요즘 예비 청약자들의 머릿속이 복잡하다. 이르면 다음 달부터 서울·수도권 공공택지의 지역우선 물량이 바뀌기 때문이다. 지역우선 물량이 조정되면 해당 지역 거주자 몫은 늘어나는 반면 타 지역 사람들의 당첨 기회는 적어진다. 김씨처럼 거주지 외 지역에 관심을 뒀던 주택 수요자들에게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수도권 거주자 몫 늘어=공공택지 지역우선 물량이 조정되면 특히 수도권(인천·경기도) 거주자의 해당 지역 당첨 확률이 크게 높아진다. 인천은 지역우선 물량이 30%에서 50%로 확대되고, 경기도는 해당 지역 우선공급 외에 경기권 우선공급(20%)에서 또 한 번 경쟁하게 돼 당첨 가능성이 커진다. 가령 광교신도시 공공분양 단지(1000가구 기준, 특별공급 물량 배제)의 경우 지금은 30%인 300가구 외에 나머지 70%를 두고 서울·수도권 거주자와 경쟁한다. 서울·수도권 청약저축 1순위자(95만 명) 중 수원 거주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4% 정도. 700가구에서 29가구 정도를 추가로 가져올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지역우선 물량 300가구 외에 200가구를 두고 경기도 거주자와 경쟁한다. 경기도 청약저축 1순위(40만 명) 중 수원 거주자가 차지하는 비율(10%)만큼인 20가구를 더 확보하는 것이다. 나머지 500가구를 두고 또 서울·수도권 거주자와 경쟁하므로 청약저축 가입자 비율만큼인 21가구를 더 가져올 수 있다. 수원 거주자 몫이 329가구에서 341가구로 4% 정도 늘어나는 것이다. <표 참조>

반면 타 지역 거주자의 당첨 가능성은 작아진다. 인천 거주자가 광교신도시에 청약하는 경우 지금은 인천 거주자 몫(서울·수도권 청약저축 1순위 중 인천 거주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7%)이 49가구 정도지만 앞으로는 35가구로 29% 준다.

◆원하는 곳으로 주소 옮기기?=다른 지역들도 마찬가지다. 분양업체인 한아름주택 강주택 사장은 “거주지 외 지역 아파트의 당첨 가능성이 작아져 주소지를 옮기는 수요자들이 늘어날 것 같다”고 말했다. 예컨대 서울 거주자의 경우 경기도로만 주소지를 옮겨도 당첨 확률이 올라간다. 경기권 우선공급 물량이 서울 거주자 몫보다 더 많은 반면 경쟁자는 적기 때문이다.

게다가 ‘모집공고일 기준 1년 이상’이었던 청약 거주 기간 제한도 많이 느슨해졌다. 수도권 투기과열지구가 2008년 모두 해제된 덕분이다. 현재 파주·김포·인천시(경제자유구역 제외)와 서울 용산·서대문·강동·마포구 등지가 거주 기간을 ‘모집공고일 현재’로 바꿨다. 이들 지역 아파트는 모집공고일 전에 주소를 옮기면 지역우선 물량에 청약할 수 있는 셈이다.

이름 밝히기를 꺼린 김포시 관계자는 “미분양 아파트가 많고 투기 가능성이 낮아 거주 기간 제한을 없앤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수원·용인·고양시 등 대다수의 지역이 여전히 1년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고, 경기권 우선분양 물량(20%)에 대한 거주 기간 제한 여부도 확정되지 않아 섣불리 주소지를 옮겼다가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신한은행 이남수 부동산팀장은 “주소지를 옮길 경우 해당 지역 우선공급 물량 청약 자격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정일·임정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