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 놓고 충청권 지자체 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호남고속철도 노선 선정을 둘러싸고 충청권 자치단체들 사이에 갈등이 재연되고 있다.

지난 1994년 정부의 건설 계획 발표 이후 불거진 지자체들 사이의 갈등은 정부가 지난해말 "노선 확정을 연기하겠다" 고 밝힘에 따라 잠잠해졌으나 심대평(沈大平)충남지사의 강경 발언으로 다시 불거지고 있다.

◇ 충남〓沈지사는 7일 오전 대전지역 중견 언론인 모임인 '목요언론인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호남고속철도 노선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대해 "대전시와 충북도가 함께 주장하는 노선안(청원군 오송~공주 박정자~논산)이 관철되는 것을 지사직을 걸고 막겠다" 고 말했다.

그는 "오송 분기점 노선안은 우리 도가 주장하는 천안 분기점 노선안(천안~공주시가지~논산)보다 거리 상 22.1㎞ 길 뿐 아니라 운행시간도 11분30초가 더 걸려 결국 연간 2천7백억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 경제성이 떨어진다" 고 주장했다.

이 노선안은 국토연구원이 지난해 7월 발표한 '제4차 국토종합계획시안' 에서 채택한 노선이며, 광주시와 전남.북이 동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 대전.충북〓沈지사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대전시와 충북도는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충북도는 8일 도의회 및 '호남고속철도 기점역 오송유치 추진위원회' .대학교수등과 함께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원종(李元鐘)지사는 "충북의 입장은 일관되게 '노선결정에 정치논리를 배제하자는 것' 이었다" 며 "외국의 예를 보더라도 노선은 국토 균형개발 측면에서 결정돼야 한다" 고 강조했다.

추진위 李상록 위원장도 "沈지사가 충북의 오송유치 주장을 두고 '정치논리' 운운한 것은 말도 안된다" 고 공박했다.

대전시도 이날 沈지사 발언에 대한 반박자료를 냈다.

대전시는 오송분기점 노선을 채택할 경우 ▶천안~오송 구간(연장 28㎞)은 경부고속철도와 노선을 공유해 공사비를 3천5백34억원 줄일 수 있고▶충북.태백권과의 광역 연계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국민들이 정부청사.대덕연구단지등 대전권 국가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청주〓최준호.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