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주변 식당난립 꼴불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彌勒寺址). 7만여평으로 동양 최대 절의 터인 데다 국내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석탑과 유물전시관이 있어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유적지다.

그러나 정문 앞 왕복 2차로의 건너편은 길을 따라 1백여m구간에 '순두부집' '가든' 등 음식점 간판이 즐비하다. 어림잡아 30개가 넘는다. 논 바로 옆에는 한창 건축 중인 2층짜리 건물 3개도 눈에 띤다.

특히 휴일이면 관광객과 인근 미륵산을 오르는 등산객 등 수천여명의 인파와 차량이 뒤엉켜 도떼기시장을 방불케 한다.

지난 27일 가족들과 관람하러 온 온계창(39.전주시 우아동)씨는 "정리가 잘된 미륵사지 안에 있다 밖으로 나오니 정신이 다 어지럽다" 며 "음식점 등이 마구 들어서게 놓아두면 미륵사지 전체의 분위기가 망가질 것이다" 고 걱정했다.

미륵사지 앞에 상가가 크게 늘어나 문화유적지의 정숙한 분위기와 주변 경관을 해치고 있다. 또 난(亂)개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미륵사지는 출토 유물을 한자리에 모은 유물전시관이 1997년 문을 열면서 관광객이 급증, 연간 36만여명에 이른다. 휴일엔 하루 2천명 이상 찾고 미륵산 등산객을 합쳐 4천~5천명이 몰린다.

미륵사지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길 건너편 등엔 음식점.찻집.노래방 등이 마구잡이로 생겨났다. 최근 5년새 논.밭 2만여㎡가 대지로 탈바꿈하고, 주민도 1백70여가구 6백여명으로 늘어났다.

한 유물전시관 직원은 "음식점들이 지금처럼 뻗어 나가게 방치하면 미륵사지는 상가에 포위돼 문화유적지로서의 분위기가 퇴색하고 말 것" 이라며 "난개발 방지 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고 말했다.

현재 이 지역은 신고만 하면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등 큰 제약이 없는 준농림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에 대해 익산시 관계자는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주거.상업.녹지.공원지구 등으로 나눠 개발하는 취락지구로 바꿀 예정" 이라며 "장기적으론 역사.문화촌을 조성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