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시민사회 포럼] 안에서 본 언론·시민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시민.사회단체의 세력과 활동이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국민.정부.기업.언론의 인식과 대응이 달라지고 있다.

혹자는 한국의 시민단체가 짧은 시일 안에 발전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언론이 적극적으로 '키워준' 것을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대단히 피상적인 견해다. 시민단체가 다루는 이슈가 공동체의 전반적이고 공익적인 것이며, 시민운동가들이 발로 뛰면서 신선한 의견과 대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언론이 비정부기구(NGO)에 대한 보도를 강화하고 있지만 과열되거나 보도의 질과 균형이 담보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또 기사의 대상이 몇몇 주요 단체에 그쳐 지역 단위 NGO와 노동.인권.통일.여성 등 다양한 단체들이 배제되고 있다.

기사가 정치적 시의성, 인물 중심, 1회성 보도로 그치는 경향이 많아 시사적 현안에 관계없이 꾸준히 운동을 벌이는 NGO들은 소외되고 있다. NGO의 위상이 커지면서 언론을 감시하고 개혁하기 위한 시민단체들마저 생겨났다.

이 과정에서 사회여론 형성과 정책적으로 독점적 지위를 지녀왔던 언론이 시민단체들의 성장과 그 활동에 못마땅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부 언론은 시민단체들의 조직운영 또는 활동내용에 제동을 걸기도 한다. 시민운동가 개인의 성추문을 걸고 넘어져 시민단체 전체를 매도한 사례가 이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이 우후죽순처럼 마구 생겨나고 그에 대한 법적.제도적 통제 장치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언론의 감시와 견제 역시 필요하다. 시민단체에게 언론은 (기사) '청탁' 의 대상이자 '감시' 의 대상이라는 말이 있다. 시민단체들에 대한 비판중에 언론플레이에 지나치게 의존했다는 점도 있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이 벌이고 있는 정당한 '언론 활용' 노력을 매도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시민단체 내부에서는 인터넷 미디어 등 스스로의 견해와 주장을 직접 담을 수 있는 대안 매체를 모색하고 있다. 다양한 주장이 언론에 충분히 보도되지 않는다는 인식 때문이다.

언론과 시민단체 모두 건강과 자율성을 유지하려면 상호 '생산적 긴장' 이 필요하다. 긴장이 필요하되 그것이 생산적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