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총재 "국가 걱정스런 상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는 9일 "현 정권이 급진세력의 무분별한 반미운동과 미군 철수 주장을 방치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 고 주장했다.

또 "대통령이 남북 문제에만 매달려 국정 혼란을 방치하고 있다. 급진적 대북 통일정책은 국가 분열의 위기감마저 느끼게 한다" 고도 했다.

그는 이날 전국농업경영인대회 참석차 내려온 진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가가 매우 걱정스러운 상황" 이라면서 정부.여당을 강도 높게 공격했다. '8.15 이산가족 정국' 을 정면으로 맞받아치겠다는 뜻에서였다.

그러면서 현대사태.금융불안.의료대란.농어촌 문제.국회 파행 등 정국 현안을 고루 언급했다.

- 현 정권이 반미운동을 방치했다는 구체적 근거는.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노근리.매향리 문제 등 주한 미군 관련 문제들이 터져 나오는데, 이런 문제에 대해선 명확하고 분명하게 나라의 입장을 얘기하고 공정한 입장이 반영돼야 한다. 주한 미군의 존재는 미군의 행동에 대한 판단에 앞서 전쟁 억지력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무분별하게 반미감정을 조장하면 안된다. 정부가 유효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한 측면이 있다.

"

- 국정 분열의 예는

"남북 관계는 긴장완화.평화정착이 중요함에도 통일론이 앞서고 있다. 통일이 금방 올 것 같은 분위기를 조성해 주한 미군의 존재가 필요하냐는 식의 의심을 가져왔다. 전쟁위협이란 본질은 전혀 변화가 없는데 이를 일깨우는 사람을 반통일세력으로 몰아세워 이념적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

- 영수회담의 가능성은.

"없다. 여당은 상생의 정치를 표방하고 국회를 연 뒤 느닷없이 날치기 강행처리했다. 대통령이 국회의 국정 운영을 어떤 식으로 끌고 갈지 드러내는 것이다. 닫힌 대화를 열기 위해 원상회복과 사과가 절대로 필요하다.

"

- 국회법 개정은 협상하나.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는 협의대상이 아니다. 원칙을 존중하고 국민이 선택한 대로 정치를 할 것이다.

"

- 의약분업의 적절한 대안은.

"약사법 개정은 의약분업 중 한가지 측면이다. 약사법을 임시국회에서 개정하는 게 정부가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돼 개정했다. 하지만 정부가 시행 날짜를 무리하게 잡아 놓고 실시해 문제가 커진 것이다. "

李총재는 간담회 직후 경상대에서 이날부터 3일 동안 열리는 전국농업경영인대회에 참석했다.

그는 2만여명이 모인 이날 행사에서 열띤 환영을 받았다.

1997년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가 주최한 '대통령 후보 농업토론회' 때와는 완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당시 李총재는 일부 농업 경영인들의 야유를 받자 일찍 자리를 떠난 바 있다.

진주〓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