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커버스토리] 30대그룹 33% "사채발행 막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30대 그룹 중 네곳을 제외한 나머지 26개 그룹이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외상 매출금을 회수하거나 보유 부동산과 주식을 매각하는 등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응답했다.

10개 그룹이 회사채 신규.차환(借換)발행이 모두 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기업어음(CP)의 연장(리볼빙)이 거의 안되거나 전혀 되지 않는 그룹도 11개로 집계됐다.

대기업들은 돈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외상매출금 회수(12개 그룹)▶보유부동산 매각(11)▶투자 축소.보류(9)▶보유주식 매각(8)▶자본 제휴 등을 통한 외자유치(8)등의 대책을 주로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 이와 함께 30대 그룹 중 17곳이 앞으로 새로 대북사업에 진출하거나 이미 진출한 분야를 넓혀 나가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21일 본사가 30대 그룹(4월 1일 공정거래위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기준)의 재무팀장과 자금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기업 자금난 및 남북경협에 대해 설문조사한 것이다.

◇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다〓대기업의 자금사정에 대해 10개 그룹이 '약간 나쁘다' , 9개 그룹이 '매우 나쁘다' 고 응답해 응답 기업의 63.3%가 대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난의 원인으로는 14개 그룹이 '금융 구조조정의 지연' 을 꼽았으며 13개 그룹이 '제2금융권의 자금 회수와 은행권의 대출 기피' 를, 9개 그룹이 '정부정책의 신뢰성 부족' 을 들었다(복수응답). 회사채의 신규.차환 발행이 모두 안된다고 응답한 그룹이 10개, 신규 발행은 안되고 차환도 일부만 된다는 그룹도 6개였다. 기업어음 연장이 과거와 같은 조건으로 잘 되고 있다는 그룹은 12개에 그쳤다.

◇ 투자 계획도 보류한다〓자금난이 풀릴 때까지 투자계획을 보류하겠다는 그룹이 20개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전면 보류하겠다' 고 응답한 그룹이 6개였다.

자금난 해소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복수응답)으로 27개 그룹이 '정부의 확실한 금융 구조조정 계획 발표로 시장 신뢰회복' 을 들었다.

이어 ▶투신부실 해소(17)▶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비율 신축 적용(8)▶부실기업의 조기 퇴출을 통한 우량기업의 자생력 제고(7)▶종금사에 대한 유동성 지원으로 기업어음 매입 여력 확대(6)등을 꼽았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10조원의 채권투자펀드 조성 등을 골자로 한 자금시장 안정대책에 대해 18개 그룹이 '약간 효과가 있을 것' 이라고 응답했으며 '그저 그렇다' (7)와 '별 효과가 없을 것이다' (4)는 응답도 나왔다.

◇ 남북 경협은 장기적으로 보고 한다〓현재 남북경협 사업을 벌이는 그룹은 9개며, 이 가운데 위탁 임가공이 7개로 가장 많고 반출입 거래와 직접투자는 각각 1개에 머물렀다.

17개 그룹이 앞으로 대북사업에 새로 진출하거나 사업규모를 늘리겠다고 응답했으며, 진출할 분야는 ▶직접투자(6)▶사회간접자본(SOC)사업(5)▶반출입 거래(3)▶위탁 임가공(3)등이다.

대기업들은 남북경협의 가장 큰 걸림돌로 투자보장협정.이중과세 방지.이익 송금 등 제도적 장치 미비(28개 그룹)를 들었다.

대기업들은 또 ▶낙후된 북한 내 사회간접자본과 물류비 부담(16)▶국내기업간 과당경쟁 및 중복투자(8)▶북한의 까다로운 상거래 관행.법규(4)▶신변안전 보장 미비(3)가 남북경협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협에 임하는 기본 전략으로는 18개 그룹이 '당장 손해보더라도 장기적으로 이익이 날 것으로 보는 사업까지 한다' 고 응답했다.

'당장 이익이 나는 사업이어야 한다' 는 반응은 9개 그룹, '남북화해와 평화통일에 기여하면 족하다는 그룹' 은 3개였다.

김동섭.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