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부모님의 전기를 써 보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영화 '마이 걸2' (감독 하워드 지프.94년 작)를 보면 교사가 수업 시간에 전기(傳記) 쓰기 과제를 준다.

다른 학생들은 모두 유명한 사람이나 인기 스타를 선택하는데, 주인공 소녀 베이다(안나 클럼스키 분)는 돌아가신 엄마의 전기를 쓰겠다고 고집한다.

베이다는 엄마의 고향이자 외삼촌이 사는 LA로 가서 엄마의 흔적을 찾아 나선다. 그러나 생각했던 것과 전혀 다른 모습을 보게 되어 실망한다. 베이다는 결점이 많은 엄마이지만 결국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자신을 낳아준 것이 업적이라는 내용의 전기를 쓴다.

가정의 달 5월이 가기 전에 부모의 전기 쓰기를 시작해 보자. 대다수 학생들은 부모와 함께 살지만 두 분 중 한 쪽만 모시고 살거나 양부모일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더러는 부모에게 반감을 가진 학생도 있을 것이다.

어떤 상황이든 전기 쓰기를 통해 자신의 부모를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자. 그래서 자기 성숙의 기회로 삼자.

◇ 전기 쓰기 활동 지침

초등학생의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일기장을 활용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흔히 일기를 쓸 거리가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일기장을 활용한 전기 쓰기는 일거양득이다.

전기를 쓸 때는 기간을 촉박하게 잡아서는 안된다. 몰아서 쓰다 보면 내용이 부실해져 성과를 거둘 수 없으므로 최소 2~3개월은 필요하다.

부모 두 분에 대해 동시에 써도 되지만 힘에 부치므로 한 쪽을 택해서 쓰도록 한다.

좀더 생생한 전기를 쓰려면 책상에 앉아서만 쓰기보다는 전기에 나오는 장소를 방문해 체험하며 쓰는 것이 좋다.

'마이 걸2' 에서 베이다는 엄마가 다녔던 고등학교를 찾아간다. 그리고 교지를 뒤져 친구의 이름과 주소를 알아낸 다음 일일이 만나 엄마 이야기를 듣는다.

※교사.학부모께 : 전기 쓰기는 학생.부모.교사 삼위일체가 돼야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는 학부모에게 전기를 쓰는 취지와 요령을 적은 안내문을 보내 알리고, 부모는 학생을 적극 도와줘야 합니다.

◇ 전기 쓰기

특별히 정해진 형식은 없지만 부모의 나이에 따라 몇 단원으로 나누어 쓰는 게 좋다. 또 전기에 기본적으로 들어가야 할 내용을 지도 교사가 안내해 주도록 한다.

①취학전.초등학교 시절.중학교 시절.고교 시절.청년기(20~30세).사회 생활.만남과 결혼 과정.현재.후기 등으로 적절히 단원을 구분한다.

②각 단원에 어떤 정보를 넣을지 결정한다.

③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 강구 및 정보 입수 : 취학 전의 정보를 알기 위해 할아버지와 할머니 또는 친척을 찾아 인터뷰를 하거나 부모님의 학창시절 친구를 찾아 정보를 입수하고, 생가(生家)를 방문해 사진을 찍어둔다.

④사진.상장.소품 등 얻어낸 자료와 정보를 꼼꼼히 챙기고 나이별로 분류해서 정리한다.

⑤정보와 자료 정리 작업이 끝나면 시간 순서대로 글을 쓴다.

⑥수정 및 책 만들기 : 애벌 쓰기가 끝나면 다시 글을 읽어보고 고친 뒤 편집해서 책을 만든다.

⑦화보 만들기 : 부모 사진 가운데 기념할 만한 것들을 모은 후 부모님께 개별 사진에 대한 설명을 듣는다.

그런 뒤 사진에 나타난 의상이나 표정.배경 등을 보고 신문을 참고로 해 그 때의 사회적 상황과 결부시켜 사진 설명 형태로 기록한다. 기록이 끝나면 전기문의 앞이나 뒤에 부모님의 일생을 사진으로 재구성한다.

⑧후기 : '부모님 전기를 마치며' 라는 제목으로 전기를 쓰기 전의 감정과 비교해서 느낌의 변화를 자세히 적는다.

◇ 초등생의 전기 쓰기

가능하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전기를 쓰는 것이 좋으나 학생 혼자서는 현장 방문 등이 어렵기 때문에 부모가 구술하는 이야기와 신문에서 얻은 정보 등을 토대로 글만 써도 된다.

일기에 전기를 썼다면 마무리되는 대로 컴퓨터에 입력한다. 어려우면 모둠을 만들어 담임 교사와 분담해서 작업해도 된다.

학급 문집을 만들 경우 그대로 편집하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개별로 표지를 만들게 한다.

뒷표지에는 전기를 쓴 작가를 꼭 밝힌다. 담임 교사가 작가의 이력을 재치있게 넣어주면 더 좋다. 그리고 앞 표지에 부모님의 초상을 그리라고 해서 붙이면 끝난다.

◇ 전기 쓰기와 NIE:전기를 쓰려면 무엇보다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부모님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면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알아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과거 어느 시점의 사진에서 엄마나 아빠의 옷차림이 이상하게 느껴진다면 그 당시 사람들의 옷 사진과 비교해 봐야 한다.

또 가난한 농가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했을 때 당시 농가 소득이 얼마였는지 알아야 어느 정도 가난했는지 이해할 수 있다.

신문을 참고하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신문사나 도서관에는 과거에 발행된 신문이 잘 보관돼 있다.

인터넷이나 PC통신은 대부분 1990년 이후 기사만 서비스하므로 그 이전 정보를 얻으려면 발품을 팔아야 한다.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