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개원협상 접점없는 대립 계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난달 24일 여야 영수회담 이후 순조롭던 여야관계에 균열조짐이 보이고 있다.

여권에 대한 한나라당의 공세수위가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개원협상도 삐걱거리고 있다. 임시국회 소집도 결국 무산됐다.

◇ 삐걱거리는 여야〓한나라당은 12일 11개 선거구에 대해 선거무효소송을 냈다. 또 2천여명의 당원이 참석한 가운데 부정선거 규탄대회도 열었다. 영수회담 이전의 대치상태로 돌아간 느낌이다.

한나라당 당직자들은 이날도 민주당을 겨냥, "자민련 교섭단체 허용 움직임과 연정(聯政)론, 시민단체를 활용한 여당체제 강화론 등을 보면 한나라당 고립작전이 시작된 것" 이라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정동영(鄭東泳)대변인은 "한나라당이 선거무효소송을 제기한 지역들은 대부분 선거법 위반사항이 없거나 성립되지 않는 지역" 이라며 "낙선자들의 한이나 풀어주자고 벌인 방탄소동에 불과하다" 고 반박했다.

◇ 임시국회 무산과 늦어지는 개원협상〓12일 만난 여야 총무들은 임시국회 소집에 합의하지 못했다. 대신 무산책임을 상대에게 떠넘기는데 급급했다.

"한나라당이 이달 말 전당대회에만 정신이 빠져 있어 협상이 제대로 안된다." (민주당 朴相千)

"민주당이 남북 정상회담 이전에 국회가 열리는 것을 원치 않는데다 금강산 관광 때문에 임시국회 소집도 안된다." (한나라당 李富榮)

16대 전반기 국회의장 선출을 비롯한 원구성과 자민련이 요구하는 교섭단체요건 완화 문제도 접점이 보이지 않고 있다.

정치권에선 16대 국회가 법정 개원일인 6월 5일을 지키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보는 견해가 확산되고 있다.

◇ 국방.건교위〓여야가 15일 이후 소집키로 합의한 국방위와 건교위 등 상임위에서도 격돌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린다 김 로비 의혹을 추궁한 뒤 논란을 16대 국회까지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도 진상규명에 적극적으로 임한다는 방침이나 검찰 등 수사기관이 '재수사 않는다' 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결국 야당과 입장이 갈릴 전망이다.

다만 상당수에 이르는 낙선 의원들이 의혹추궁에 얼마나 열의를 보일지는 별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