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이 바꾸는 한국경제] 사이버거래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디지털화가 한국 경제의 틀을 바꾸고 있다.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으로 향후 우리 경제는 낮은 인플레이션 속에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엿보인다.

10년 뒤에는 정보통신 산업과 인터넷 사업 등 신산업이 비중이 20% 가까이로 높아질 전망이다.

벤처 열기 속 전통 제조업체는 디지털 기업으로 변신하는 것이 당면 과제다.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진입자가 쉽게 나타나고 있으며, 금융기관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해야 생존이 가능한 상황이 다가오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중앙일보와 공동으로 디지털 충격의 파급 상황과 그 효과를 분석한다.

정부와 기업.개인 등 경제 주체들이 21세기 디지털 사회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지를 찾는 작업이다.

28일 오후 1시 30분부터 4시간 동안 서울 서소문 호암아트홀에서 이뤄질 심포지엄의 주요 발표 내용을 요약한다.

경제를 디지털화하자면 광통신망 등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돈이 들어간다.

정보통신 인프라가 잘 갖춰져야 벤처기업 등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축적된 자본 가운데 정보통신 등 신산업 분야에 들어간 비중이 1990년대 초반 10%대에서 지난해 말엔 16%로 급격히 늘어났다.

미국 경제가 장기 호황을 누려온 것은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투자가 큰 힘이 되었다.

우리나라도 전통 제조업 쪽에는 과잉투자 논란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시중의 자금 등이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투자규모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말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27% 수준인 총투자 규모는 2010년까지 10년동안 30%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총투자 중 상당 부분은 정보통신 분야에 집중될 것이다. 이 기간 중 연평균 8%의 투자 증가율을 보일 것이다.

미국은 자국 통화인 달러가 전 세계 기축통화라서 외자를 끌어들여 투자해 경상수지 적자가 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상황이 다르다. 정보통신산업 등에 투자할 재원은 국내 자본을 조달하거나 외자를 유치해 충당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투자 사업의 수익성을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수익성을 충분히 따지지 않고 투자할 경우 나중에 거품 논쟁이 일 가능성이 높다.

전자상거래의 확산은 개인들의 소비를 늘리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다.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자신이 필요한 상품의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인터넷과 관련된 신상품을 내놓아 소비를 부추긴다.

연구소의 전망에 따르면 2010년까지 10년동안 소비는 연평균 7.5%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의 디지털화는 또 경기 변동을 크게 완화시킬 것이다. 과거 경기변동은 주로 자동차.전자.중공업 등 대형 장치산업이 미리 투자해놓고 수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거나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었다.

그러나 제품의 설계.생산.판매에 디지털을 이용하면서 신제품의 개발 주기가 짧아진다.

고객 수요에 맞춰 제품을 제때 공급할 수 있게 돼 적정 재고의 필요성이 떨어지는데, 기업 제품 중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이같은 현상은 더 뚜렷해진다.

기업이 적정 재고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경기변동 요인이 그만큼 덜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디지털 경제화에는 어두운 측면도 있다. 인터넷은 누구나 접할 수 있는 것이지만 소득수준이나 학력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정보획득 기회와 이용능력의 차이가 난다.

이같은 차이는 개인의 소득수준을 결정한다.

국제통화기금(IMF)관리체제에서 중산층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으로 각각 이동, 소득 분포가 양극화되는 현상을 겪었다.

앞으로 디지털 경제화가 진행되면서 이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디지털 경제란 부자가 될 '기회' 와 가난한 사람으로 떨어질 '위험 '이 동시에 존재하는 사회인 셈이다.

홍순영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