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인구감소 겹쳐 19세기 조선경제 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1970년대까지 초기의 경제사 연구자들을 사로잡은 문제의식은 이른바 '자본주의 맹아론'(萌芽論)이었다. 그들은 식민지기에 일제에 의해 부식된 '조선사회정체성론'을 타파하기 위한 민족적 사명감에서 17~19세기 전통사회에서 자본주의를 향한 맹아적인 경제형태가 발전하고 있었음을 증명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낙성대경제연구소가 추진 중인 '한국의 장기통계' 3개년 사업 중 첫 성과물로 나온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서울대출판부)에서 서울대 경제학과 이영훈 교수는 165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의 각종 통계수치는 자본주의 맹아론 혹은 내재적 발전론으로 대표되는 학계 통념과는 전혀 다르다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이 책에 수록된 연구성과를 총평한 글 '총설:조선후기 경제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과 과제'에서 이 교수는 조선후기 경제는 18세기 안정기 혹은 발전기를 거쳐 19세기 중반, 특히 1860년 무렵에는 이미 국가권력이 통제력을 완전히 상실한 '대위기'에 봉착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당시 조선 농촌사회에서는 비(非)시장경제가 대단히 강고하게 자리잡고 있었으며, 19세기 중반기부터는 초유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조선경제는 헤어날 수 없는 불황으로 빠져들었다고 말했다. 예컨대 족보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에 뚜렷한 인구감소 현상이 감지됐으며, 그 원인으로는 특히 1850년대 이후 두드러진 물가폭등과 농촌 및 도시 노동자의 실질임금 하락현상이 관찰됐다. 경상도 예천 박씨 양반가 일기를 분석한 결과, 이 양반가에 고용된 노동자는 임금이 1880~82년을 100으로 할 때 1853년은 150이었으나 1905년에는 50으로까지 떨어졌다. 논값 또한 18세기에는 안정적이었으나 1810년 이후 19세기말까지는 거의 절반으로 폭락했다.

이 교수는 이같은 결과를 전국적인 현상으로 확대하기에는 이르다고 전제하면서도, 분석 여하에 따라선 조선왕조는 강력한 외세의 작용으로 멸망한 것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이미 모든 체력이 고갈된 채 파탄나 있었다고 할 정도로 사정이 심각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요컨대 조선후기는 '내재적 발전'이 아니라, '내재적 파탄'상태였다는 것이다.

[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