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시민마라톤 붐 일으킨 전차수 경상대 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경상대 전차수(田次秀.41.공대 산업 시스템 공학부)교수는 경남 진주에 마라톤 붐을 일으킨 주역이다. 4월 1일 열리는 '제6회 진주시민 마라톤 대회' 사무국에는 전국에서 참가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

대회본부측이 예상하는 참가인원을 1천여명. 이 대회는 田교수가 지난해 5월에 제자.동료 교수들과 함께 마라톤 클럽을 만들어 시작한 것으로, 불과 1년만에 전국 규모로 급성장했다. 21㎞나 10㎞코스를 달리는 이 마라톤 대회는 1~2개월마다 열린다.

제1회 대회는 동료교수와 가족.제자 등 67명이 참가했으나 지난해 11월 열린 5회대회 때는 3백여명이 참가했다. 대회 초기에는 행사비용을 田교수가 부담했지만 지금은 대기업체 등 10여곳에서 행사비를 내놓고 있다.

제자들이 해야 했던 교통통제 등 자원봉사도 진주지역 사회단체들이 맡고 있다. 대회운영도 田교수가 만든 산업시스템 공학부 마라톤 클럽이 맡다가 지금은 진주참여인권 시민연대와 공동주최하고 있다.

이 마라톤 대회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골인모습을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 기록증에 담아주는가 하면 신청을 미리 받지 않고 현장에서 접수 받는 등 운영방식이 독특하다.

"참가자를 피곤하게 하는 거창한 마라톤 대회보다 가족들과 편안한 마음으로 달릴 수 있는 분위기가 인기를 끌고 있는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가 마라톤에 빠져든 계기는 그야말로 우연이었다. 3년전 공구가 다섯 방향에서 작동하는 제어장치를 연구하던 그는 생각이 막히자 연구실을 빠져나와 무작정 달렸다. 20여분쯤 달리자 신기하게 아이디어가 떠올라 연구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田교수는 회상했다.

"백지상태에서 다시 생각을 해보게 하는데다 달리는 희열감이 뇌를 적극적인 상태로 바꿔 놓는 것 같아요. "

현재 특허출원 중인 렌즈 경계를 깎는 가공방법 등 10여가지 연구도 달리다 얻은 아이디어이다. 남강.진양호 오솔길을 달리는 마라톤 코스를 개발한 그는 진주에 국제마라톤대회를 유치하는 꿈에 부풀어 있다.

홈페이지는

진주〓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