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MB 국민과 대화 … 세종시 정국 분수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이명박 대통령이 27일 TV를 통해 세종시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을 두고 총리실과 정치권의 속내는 복잡하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는 세종시로 몸살을 앓아온 정국의 최대 분수령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장 촉각을 곤두세운 곳은 세종시 문제를 전면에서 다뤄온 총리실이다. 총리실은 최근 청와대에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나올 예상질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최근 비(非)충청권에서 제기된 ‘세종시 블랙홀 논란’으로 고민이 많았는데 대통령이 나서면 분위기가 달라지지 않겠나”라며 “정운찬 총리도 짐을 더는 셈”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논의 무게중심이 청와대로 갈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이 나서는 만큼 총리의 역할에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대안 논의 기구인) 총리실 산하의 민관합동위가 엄연히 활동하는 만큼 총리는 계속 전면에 있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 정 총리는 26일 언론사 논설실장 오찬, 12월 2일 관훈토론회 등 세종시 구상을 밝힐 일정이 많다. 27일에는 대한상의 회장단 오찬에 이어 충청 지역 상공인 간담회를 열고, 28일 민관합동위 위원들과 세종시 방문을 검토하는 등 지역 달래기에도 적극적이다. 총리실은 세종시에 특혜가 몰린다며 반발하는 비충청권과 접촉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민관합동위의 활동도 변수다. 청와대는 최근 세종시 대안을 12월 중순까지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내에서는 민관합동위 출범 시 발표했던 4단계 과정(자족기능별 대안 및 유인 부여 방안 검토→자족성 보완 방향 및 행정기관 이전 문제 검토→2∼3개 대안 조합과 비용효과 분석→최종 대안 도출)을 매주 1단계씩 밟아가는 스케줄을 작성했다고 한다. 23일 자족 기능 확충 방안에 이어 30일 9부2처2청 이전, 12월 7일 대안 조합 등을 논의하면 12월 14일까지 최종 대안을 도출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그러나 일정대로 될지는 불투명하다. 민관합동위 위원인 강용식 한밭대 명예총장은 아예 “(세종시 수정은) 국회에서 다룰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치권의 갑론을박도 팽팽하다. 친이계인 진수희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장은 “대통령 사과와 정부 대안이 공개되면 충청도민도 진정성을 받아들일 것”이라며 “그럴 경우 (수정안 쪽으로) 당론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친박계인 이정현 의원은 “대통령 사과로 충청도민의 민심이 달라질 리 없다”고 친박계의 기류를 대변했다. 한편 이상득 의원은 전날 ‘세종시 블랙홀’ 논란과 관련,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 기능 일부가 세종시로 간다는 얘기는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 고 말했다.

◆사립대도 세종시 입주 추가 타진=최근 정원 증원 등을 염두에 둔 사립대 5~6곳이 세종시 입주를 정부에 문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자족용지 비율을 20%까지 올린다 해도 세종시 72.91㎢(약 2280만 평) 중 대학과 기업 등 자족 기능이 들어설 공간이 14.58㎢(약 450만 평) 안팎이어서 양해각서(MOU)를 맺은 KAIST와 고려대, 학내 논의를 공식화한 서울대 정도만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정효식·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