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양강도 폭발사고' 진상 무엇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북한 양강도에서 지난 8, 9일께 대규모 폭발이 있었다. 정확한 진상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외신과 전문가들은 '핵실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정황을 보면 그럴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방사능 낙진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점 등이 그 이유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핵실험은 그야말로 추측"이라고 강조했다.

그렇다 해도 이런 식의 폭발사고는 최근 한반도 정세를 감안할 때 비상한 관심을 끌 수밖에 없다. 북한은 당국 간 대화를 포함한 대부분의 대화를 끊고 있다. 북한 권력층 내 보.혁 다툼도 거세지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미국 조야에선 '10월 핵무기 실험설'이 퍼져 있었다. 특히 폭발이 일어난 곳은 노동미사일 기지가 있는 등 군사적 요충지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용천사고 때보다 더 큰 폭발이 있었다면 정부는 즉각 이 사건의 윤곽 정도는 국민에게 알렸어야 하지 않는가.

정부는 폭발 초기부터 사태파악을 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3일 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즉각 열고 정부가 파악한 내용을 설명했어야 했다. 뒤늦게 열린 NSC에서 "이 문제는 간단히 다루어졌다"는 설명 역시 석연치 않다. 이런 정부 태도는 폭발과 관련된 핵심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본다. 우리 정부가 위성정보 등 북한에 대한 핵심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이 아닌가. 미국과의 정보 공유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

이번 사건은 단순사고가 아닐 경우 한반도 정세에 심상치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만의 하나 핵실험으로 드러날 경우는 말할 것도 없다. 우리는 북한이 이 어려운 시절에 국제적 파문을 일으킬 불장난을 하지 말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정부는 모든 정보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이번 폭발의 전모를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 북한도 이런 식의 폐쇄성을 벗어나 스스로 진상을 밝혀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