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전입자 90%가 '서울시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수도권 인구 흐름의 양태가 크게 바뀌고 있다.

최근 경기도와 인천의 인구증가는 알고보니 서울사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수도권밖의 다른 지방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주로 유입됐으나 최근에는 경기도.인천 등으로 들어오는 인구 대부분이 서울 사람들인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개발연구원(원장 盧椿熙)이 10일 내놓은 '수도권 인구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에 따르면 1997년 한햇동안 경기도의 '사회적 인구증가' (전입인구에서 전출인구를 뺀 수) 21만3천7백48명 중 92.2%인 19만7천1백48명이 서울에서 이사 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해의 인천시 인구증가 2만7천40명 중 83.7%인 1만9천9백29명이 서울 사람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도권 인구증가가 다른 지방에서의 유입때문이 아니라 수도권내에서의 활발한 인구 분산이나 이동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때문에 1983년 타지방에서 서울 등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을 억제하기위해 도입한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같은 대책이 이젠 현실과 맞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조사에 참여한 이외희(李外姬)연구위원은 "수도권의 인구증가가 대부분 서울에서 이주한 사람들인 만큼 현행 수도권정비계획법의 계속 시행은 의미가 없다" 며 "이젠 새로운 각도로 수도권 인구정책을 생각하고 과감하게 정책전환도 해야할 때" 라고 말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서울 사람들의 경기도 이주요인 중 주택마련(34.2%)이 직장(25.8%)등 다른 이유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 경기도로 내집마련을 위해 옮기는 경제적 이유가 수도권 인구 유입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풀이다.

직장이나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방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밀려 들어 오던 것은 이제 옛말이 되어버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이유 때문에 수도권은 결국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전락돼 교통난 등 많은 문제점을 양산시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해종(李海鐘.경기개발연구원 수도권연구센터장)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수도권 인구정책이 실패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라며 "경기도 등 수도권의 자족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별 특성화개발 등과 같은 체계적 개발계획이 절실하다" 고 말했다.

정재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