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통혼잡市 출퇴근 자가용 제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경기도 내 교통체증이 극심한 지역은 '교통혼잡 관리지구' 로 지정돼 출퇴근 시간 승용차의 진입이 금지된다.

경기도는 25일 시.군 교통과장 회의를 열고 이같은 '교통수요관리 종합대책' 을 전했다.

대책안에 따르면 인구 50만명 이상 시 지역 중 교통체증이 심해 차량통행이 어려운 지역을 교통혼잡지구로 지정하고 출퇴근 등 일정시간에 한해 자가용 승용차의 진입을 막기로 했다.

대상 지역은 수원.성남.고양.부천.안산.안양시 등 6곳이다.

경기도는 그러나 서울로 향하는 길목이나 인근 시.군지역으로 연결되는 주요 간선도로는 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이런 지역의 통행을 막을 경우 더 큰 교통혼잡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진입제한 지정도로도 우회도로 등 대체수단이 충분히 확보될 경우에 한하기로 했다.

혼잡지구내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물 소유자는 교통수요관리 프로그램을 마련, 시행해야 한다.

또 해당 시장은 혼잡지구의 체증 해소를 위해 교통영향평가를 실시하고 도로구조 개선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도는 우선 해당 시에 대상지역을 다음달 중으로 선정, 이를 건설교통부에 제출해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시행령이 개정되는 대로 시행할 방침이다.

시행시기는 이르면 올 하반기로 예상된다.

경기도는 또 경기도의 '하나로 교통카드' 로 수도권의 버스와 전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올 상반기 중 구축키로 했다.

이를 위해 현재 64%인 시내버스의 카드판독기 설치율을 1백%로 끌어올리고 서울시와 협의해 경기도의 교통카드를 서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밖에 교통혼잡을 가중시키는 노상주차장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불법 주.정차 단속을 강화하는 등 주차유발 억제정책도 함께 펴나가기로 했다.

수원〓정재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