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독일처럼 통일 뒤 남북간 적개심 나타날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3일 “북한이 주민들의 민생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은 남한과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가능하다”며 “북한의 선택이 너무 늦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현 장관은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한국수출입은행과 국가안보전략연구소가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후원한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과 남북협력 전망’ 세미나 축사를 통해 북한에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하며 이같이 말했다. 현 장관은 “남북한 국민총소득(GNI) 격차는 38배이고, 수출액은 384배이며 시간이 갈수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남북 간 경제력 차이를 해소하는 데 북핵 문제 해결은 그 초석”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의 베른하르트 젤리거 박사(사진)는 ‘독일 통일 20년’이란 주제의 발표에서 “한국에서 향후 통일독일처럼, 혹은 더 심하게 남북 주민 간 적개심이 나타날 가능성이 다분하다” 고 말했다. 젤리거 박사는 “한 조사에 따르면 동독 주민 63%가 서독 주민들에게 공통점보다 차이점을 더 느낀다고 답했다”며 “그들의 머릿속에 자리한 장벽은 아직도 무너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젤리거 박사는 “(한국 정부가) 탈북자를 ‘메신저’로 인식하고 미리 교육해 (통일 이후) 남북 간 중재자 역할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명덕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독일이 통일 당시 동독의 경제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성급하게 경제 통합 정책을 편 결과 나타난 후유증을 피하기 위해 통일에 앞서 북한 경제상황을 최대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